(기자의 눈)증시 위기 대응, 시의성이 핵심

입력 : 2022-09-30 오전 6:00:00
우연수 증권부 기자
지난 27일 미수금 대비 반대매매 비중이 20%를 넘어섰다. 집계 이래 역대 세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반대매매가 터져나오고 있다는 건 투자자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폭락이 일어나고 있단 신호다. 신용융자를 통해 주식을 매입한 투자자가 주가 급락에 따른 추가 증거금을 채워넣지 못하면 증권사는 투자자 의사와 무관하게 주식을 강제 일괄 매도한다. 투자자들은 빚내 산 주식이 말도 안되는 가격에 처분되면서 돈을 잃고, 반대매매로 풀린 싼 매물은 증시 하락을 부추겨 악순환을 낳는다. 패닉장이다.
 
아직 코로나 때 만큼의 폭락장은 아니지만 여러 기록적 상황이 나오고 있음에는 틀림없다. 반대매매가 20%를 넘은 것도, 환율이 1440원까지 뚫고 올라간 것도 13년여 만이다.
 
이같이 증시 변동성이 커진 상황에서, 코스피 2200선이 깨지고서야 정부는 증시안정펀드(증안펀드)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7월 취임 당시 증안펀드 등 정책 수단 활용 가능성을 언급한 이래로 두달도 더 지났다. 그 사이 7~8월에는 증시 변동성이 다소 진정되는 듯 싶었지만 9월 들어 글로벌 긴축 기조가 심화되면서 다시 증시는 가파르게 하락했다. 이미 금융투자업계에서는 7~8월의 반등이 일시적 '되돌림'일 뿐, 추세적 하락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었다. 정부 대응의 타이밍이 너무 늦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정부의 위기 대응이 간발의 차이로 늦어 머쓱해진 사례도 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때도 정부는 증안펀드 카드를 꺼냈다. 코스피는 3월14일 이미 저점을 찍었는데 열흘이나 지난 24일에야 역대급 규모의 10조대 증안펀드 계획이 발표된 것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증안펀드 기금이 집행됐을 당시 이미 글로벌 증시는 진정 국면에 들어서고 있었다. 
 
정부의 조심스러움도 이해가 가지 않는 건 아니다. 강력한 대책을 미리 내놓으면 시장이 '긴급 상황'이라는 부정적 시그널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직접적인 정책 집행에 따른 효과 못지 않게 투자 심리를 회복하는 일 역시 중요하다. 방어 수단이 있다는 긍정적 시그널을 적기에 주는 것만으로도 변동성을 완화하고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줄 수 있다.
 
여전히 정부는 공매도 금지 카드를 만지작 거리고만 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취임 당시 증안펀드와 공매도 금지 등을 모두 포함해 적절한 정책 수단을 고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엔 너무 늦지 않아야 할 것이다. 
 
우연수 증권부 기자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우연수 기자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