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박창욱 기자] 올해 9월까지 설비투자가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투자 확대는 주로 자동차와 반도체 업종이 견인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사진=뉴시스)
2일 국가데이터처의 산업활동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산업 설비투자지수(원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했습니다. 2021년(11.3%) 이후 동기 기준으로 4년 만에 최대폭입니다.
자동차와 반도체가 중심이 돼 투자 증가세를 이끈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자동차 설비투자는 전년 대비 15.6% 증가했습니다. 이는 2000년(33.9%) 이후 25년 만에 가장 큰 증가폭입니다. 자동차 업계는 전기차 전환시설 확충, 자율주행·인공지능(AI) 등 미래 사업 경쟁력 제고 등을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반도체 제조용 기계 투자 역시 15.7%로, 2021년(57.2%) 이후 4년 만에 최대폭 증가입니다.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 재고 조정 마무리와 인공지능(AI) 패러다임 전환에 따라 초호황기(슈퍼 사이클)에 들어서며 투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소비 지표 역시 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올해 1∼9월 평균 소매판매액 불변지수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0.4% 증가했습니다. 2023년 -1.3%, 2024년 -2.1% 등 2년 연속 감소를 기록하다가 올해 플러스로 전환했습니다. 이는 지난 7월 시작된 소비쿠폰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입니다.
서비스업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생산 불변지수는 1.6% 증가했다. 2023년(3.9%) 이후 2년 만에 최대폭이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도소매업은 증가율이 2.0%로 2022년 3.2% 이후 가장 컸고, 숙박·음식점업은 -1.4%로 2년 연속 마이너스였습니다.
소비도 최근 회복세가 강해지는 모습입니다. 올해 3분기 소매판매(계절조정)는 1.5% 증가해 2021년 3분기(2.0%) 이후 16분기 만에 최대폭 증가했습니다. 3분기 서비스업생산(계절조정) 중 도소매업은 전 분기보다 4.5% 증가해 2000년 통계 작성 이후 역대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숙박음식점업도 3분기 1.2% 증가해 2022년 3분기 2.5% 이후 12분기 만에 가장 많이 늘었습니다. 월별로 봐도 지난 9월 서비스업생산 증가율은 1.8%로 2023년 2월(1.8%) 이후 2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다만 올해 9월까지 전산업생산(원지수)은 작년 동기보다 0.8%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지난 2020년 -1.1% 이후 5년 만에 가장 부진했습니다. 하지만 생산은 최근 회복세를 보이는 점은 고무적입니다. 지난 3분기 전산업생산(계절조정) 증가율은 1.1%로 8분기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건설경기는 역대 최악 수준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1∼9월 건설기성(불변)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7.0% 감소했는데,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가장 큰 폭입니다.
경제지표는 윤석열 정부 막바지에 둔화됐으나, 새 정부 출범 이후에는 건설기성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28일 경제동향 브리핑에서 올해 연간 성장 전망을 기존 0.9%에서 1%대로 상향 조정할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습니다.
박창욱 기자 pbtkd@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