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보안법 제정 가시화…수혜 기대감에 들썩

미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미국과 중국 국기가 걸려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이혜현 기자] 미국 하원에서 중국 바이오 기업을 견제하는 생물보안법이 통과하며 연내 법 제정이 확실시 되는 가운데 국내 바이오 기업이 수혜 기대감에 바이오 소부장과 위탁개발생산(CDMO) 확장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생물보안법이 약 8년의 유예 기간이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19일 박재경 하나증권 연구원은 국내 CDMO 업체들에게 중장기적 관점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분석했습니다. 박 연구원은 "의약품 생산처 전환에는 기술 이전이나 특정 공정이 설정된 규격과 품질 요소들을 만족하고 있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있음을 보증하기 위한 증거를 문서화하는 밸리데이션 등의 공정 절차 외에도 규제기관의 실사 등 승인 절차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국내 바이오 기업 중 최대 수혜자로 꼽히는 곳은 세계 1위 CDMO 생산능력 역량을 보유한 삼성바이오로직스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위탁개발(CDO) 매출액 비중이 아직 10% 미만에 불과하지만 중장기적으로 비중 확대가 기대돼 CDMO 매출 외에도 추가적인 성장동력 확보가 예상됩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32년까지 4개 공장을 추가로 지어 연간 생산능력 130만 리터를 확보할 계획인데요.   박 연구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CDMO 락인(Lock-in) 효과로 장기적으로 위탁생산(CMO) 매출 성장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락인효과(Lock-in)는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 공급업체를 선택한 후 이를 변경하거나 다른 대안을 선택하기 어려워지는 현상 의미하는데, 주로 전환비용이 높을 때 발생합니다.   셀트리온은 지난 9일 경영계획 공시를 통해 CDMO 사업 진출 계획을 밝혔습니다.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영위하며 확보한 생산 기술과 글로벌 인허가 노하우를 활용해 CDMO 사업 경쟁력을 높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셀트리온은 100% 지분 자회사 형태로 신규 공장을 확보해 CDMO 사업을 추진하는 안이 유력합니다.   에스티팜은 원료의약품 CDMO 기업으로 최근 잇달아 수주에 성공해 실질적인 생물보안법안의 수혜를 받을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김혜민 KB증권 연구원은 생물보안법 제정 초기에는 업계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수 있으나 점진적으로 체감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김 연구원은 "생물보안법이 시장에서 예상되는 것처럼 연내 입법이 된다고 가정하더라도 2032년까지 유예기간이 있기 때문에 단기적인 관점보다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론자, 후지필름 등 경쟁사들의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지켜봐야 한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는 추가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분야로 CDO을 꼽았습니다. 김 연구원은 국내 바이오 기업 매출의 대부분이 CMO를 통해 발생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추가적인 공장 증설, 이에 부합한 대규모 수주가 제일 큰 주가의 기폭제로 작용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신규 공장이 완공되면 매출이 즉시 인식되지 않고, 시생산 및 상업화 규모 시험생산(PPQ) 이후 상업화 생산까지 통상적으로 2년이라는 기간이 지나야 매출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지정학적인 이슈로 인해 부각되고 있는 CDO 사업이 일부 공백을 상쇄시켜 중장기적인 성장동력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고 예상했습니다.    이혜현 기자 hyun@etomato.com

체질개선 드라이브 거는 시너지이노베이션…구세주는 '비만약'

 시너지이노베이션의 자회사 뉴로바이오젠이 연구개발 중인 신약후보 물질 KDS2010로 인한 수혜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시너지이노베이션은 미생물배양배지 제조를 기반 사업으로 바이오, 의료,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지만 바이오 부문 연구개발(R&D) 투자 비율이 연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시너지이노베이션은 혈액배양배지 국산화와 더불어 판독을 위한 장비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올해 상반기 누적 매출액에서 바이오 기술 사업 부문에 투자한 연구개발 비율은 고작 0.002%로 사실상 전무한 수준입니다. 그나마 의료 사업과 건강기능식품 부문 연구개발(R&D) 비율이 각각 5.58%, 2.12% 수준으로 투자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뉴로바이오젠이 자체 개발한 KDS2010은 반응성 성상교세포에서 비정상적인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의 합성을 저해해 뇌질환 및 중추신경계 질환을 치료하는 혁신 신약 물질인데요. 이 작용기전을 바탕으로 척수손상을 비롯해 뇌졸중 후유장애, 파킨슨 치료제로 개발해 왔습니다. 지난달 경도인지장애 단계의 알츠하이머병 및 경도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KDS2010의 임상 2a상 시험계획(IND)을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은데 이어 최근에는 경구용 비만 치료를 타깃으로 적응증을 추가했습니다. 뉴로바이오젠은 강북삼성병원을 포함한 3개 병원에서 비만 적응증에 대한 KDS2010 임상2상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비만 치료제 시장이 전 세계적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만큼,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에 성과가 날 경우 중장기 미래 먹거리 사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죠. KDS2010은 글로벌 임상2상도 계획하고 있는데요.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KDS2010의 임상2상을 승인받기 위해 기준에 맞는 임상 디자인 작업을 거쳐 현재 사전 임상시험 계획 심사가 진행 중입니다. 절차가 완료되면 총 75명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과 미국에서 순차적으로 비만과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로 약효와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임상시험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영업이익 34.6%, 순이익 66.9% 감소하며 실적이 급전직하한 시너지이노베이션이 신약 포트폴리오 확대와 미래 신성장 사업에 성과를 내 변곡점을 만들어 내는 것이 관건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시너지이노베이션을 거느리고 있는 시너지그룹은 대대적인 지배구조 개편을 통해 경영효율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에스이노베이션 신기술조합은 지난해 말 시너지이노베이션 지분 38.18%를 보유한 최대 주주로 등극했습니다. 시너지그룹의 최상단에 위치한 구자형 대표이사는 시너지파트너스의 최대 주주로 지배구조를 단순화해 시너지이노베이션 등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습니다. 6월 말 기준 시너지파트너스는 에스이노베이션 신기술조합 지분 55.70%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있지만 최근에 지분 24.7%를 상상인에 넘기는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습니다. 상상인은 매매계약 종결 후 2년 내에 에스이노베이션 신기술조합의 잔여 지분을 취득하는 콜옵션 계약도 체결해 중장기적으로 지분 100%를 인수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사진픽사베이)  이혜현 기자 hyun@etomato.com

오너 리베이트·적자난…‘내우외환’ 동성제약

동성제약이 오너 리베이트와 실적 악화로 겹악재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이양구 동성제약 대표이사는 리베이트 혐의로 재판이 진행 중인데다 회사 실적은 5년간 영업손실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해부터 분위기가 반전되나 싶었지만 올해 상반기 다시 실적이 악화 추세로 돌아섰습니다. 이양구 대표이사는 올해 초 의료인들에게 회사 전문의약품 처방 대가로 경제적 이익을 제공했다는 정황이 포착돼 약사법 위반 혐의로 기소돼 1심 재판에서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받았는데요. 1심 재판 결과에도 회사 측은 이양구 대표이사를 사내이사로 재선임하며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동성제약 창업주인 고 이선규 명예회장 3남인 이양구 대표이사는 2001년부터 대표이사 사장직에 올라 회사를 이끌고 있습니다. 오너 리스크에 대한 우려에도 이양구 대표이사는 사내이사로 선임돼 이사회 의장직까지 맡아 회사 내 입지 변화 없이 중심축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동성제약은 1심 재판에 불복해 항소심에서 이양구 대표이사의 혐의를 다투고 있어 최종 결과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사내이사 연임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이양구 대표이사의 리베이트 재판이 끝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법 리스크는 계속될 전망입니다. 이양구 대표이사가 리베이트 혐의 관련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자 한국ESG기준원는 오너 리스크로 기업 가치가 훼손됐다는 사유로 지배구조 부문 등급을 B등급에서 C등급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ESG 등급 체계는 최고등급인 S등급부터 A+, A, B+, B, C, D등급까지 총 7개 등급으로 구분됩니다. C등급은 취약한 지속가능경영 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체제 개선을 위한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상태를 의미하는데요. 문제는 이뿐만이 아닙니다. 올해 상반기 주요 의약품 부진으로 급격한 실적 악화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누적 영업손실은 19억원으로 적자 전환했고 순손실은 1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적자 폭이 2863% 확대됐습니다. 재무 건전성에도 경고등이 켜졌습니다. 상반기 부채비율은 229.76%, 순차입금비율은 132%에 달했습니다. 기업의 자산에서 부채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부채비율은 재무건전성을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인 척도입니다. 시장에서는 통상 200% 이하를 적정선으로 보고 이를 웃돌면 위험신호로 간주하는데요. 동성제약은 줄곧 부채비율이 200% 이하를 유지했지만,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200%를 넘겼습니다. 같은 기간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27억8532만원인데 차입금은 526억1708만원에 달해 차입금의존도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입니다. 차입금의존도가 높을수록 금융비용 부담이 늘어 기업의 수익성을 저해하고 자본잠식을 초래할 위험이 있습니다. 동성제약의 대표 의약품 정로환의 생산실적 급감도 골치입니다. 지난해 생산실적이 40억3900만원에 달했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고작 7억8000만원에 불과한데요.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6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이혜현 기자 hyu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