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동지훈 기자] 코로나19 백신 수급이 정상 궤도에 오르지 못한 가운데 중증이나 사망 위험이 높은 고령층 중심으로 접종이 이뤄져야 한다는 전문가 지적이 꾸준히 제기된다. 한정된 백신 상황을 고려해 연령대에 따라 접종 계획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는 제안도 나온다.
12일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자는 총 2163만7408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42.5%의 접종률을 기록했다.
백신별 권장 접종 횟수를 완료한 대상자는 806만3800명으로 전체 인구의 16%에 해당한다. 접종률만 놓고 보면 1차 접종자가 접종 완료자에 비해 두 배 이상 많은 셈이다.
정부는 오는 11월 집단면역 형성이라는 목표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2일 "9월까지 3600만명에 대한 1차 접종을 마친다는 계획도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라며 "목표를 앞당겨 추석 연휴 전까지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라고 밝힌 바 있다.
중간 과제로는 다음달까지 전 국민의 70%의 1차 접종 완료를 내세웠다. 먼저 1차 접종률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두 달 안에 2차 접종률을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전문가들은 1차 접종률 확대보다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으로 발전하거나 사망할 위험이 높은 고령층 중심 백신 접종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로 국내에선 60세 이상 접종 대상자 중 약 200만명이 1차 접종도 마치지 않은 상태다.
12일 오전 서울 강서구 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위탁의료기관에서 대상자들이 백신 접종을 받고 있다. 사진/뉴시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1차 접종을 늘리는 게 좋을지 2차 접종 완료자를 늘리는 게 좋을지는 전략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라면서도 "적어도 고령자나 고위험군에 대해서는 2차 접종을 완료하는 게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특히 델타 등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시기에서는 고위험군에 속한 이들에 대한 접종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게 최 교수 설명이다.
그는 "델타 변이가 다른 바이러스에 비해 중증도 변화가 있다는 근거는 없지만 어떤 변이에서든 고위험군의 위험도가 높다"라며 "어느 국가든지 고령자에게 먼저 백신을 접종했다"라고 덧붙였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백신 수급이 불안정한 상황인 만큼 고위험군 접종 완료를 우선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접종 간격이 6주로 늘어난 화이자, 모더나 백신으로 비교적 위험도가 낮은 연령층의 1차 접종률을 함께 올릴 수 있다고 제안했다.
정부는 최근 백신 수급이 차질을 빚으면서 화이자, 모더나 등 mRNA 백신 접종 간격을 3주에서 6주로 조정한 바 있다.
김 교수는 "1차 접종률 70%를 달성해야 한다고 하면서 중증·사망률도 줄이겠다는 것은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것"이라며 "두 가지 목표를 이루겠다는 게 아니라 접종률만 높이겠다는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미 교차접종이 시작됐으니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은 고령층에게 화이자 백신 등을 빠르게 접종해서 중증·사망 위험을 낮춰야 한다"라며 "비교적 젊은 층에게는 접종 간격을 넓혀서 1차 접종률을 높이는 투 트랙 전략도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동지훈 기자 jeehoo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