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용윤신 기자] 2024년부터 부산항과 인천항에 로봇·사물인터넷(IoT) 장비가 입·출고를 확인하고 빅데이터·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재고를 관리하는 스마트 물류센터가 가동한다. 부산항에서 시범운영하는 스마트 항만안전플랫폼은 전국 항만으로 확산해 항만 노동자들의 안전을 도모한다.
해양수산부는 디지털화 등 최근 급변하는 정책 환경에 발맞춰 2019년 수립한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을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 2.0'으로 확대·개편했다고 9일 밝혔다.
스마트화 전략 2.0을 통해 단순 인프라 도입뿐 아니라 산업 현장과 국민 일상을 바꾸는 실질적인 스마트화를 도모한다. 기존의 과제에 없었던 근로자와 해양수산 시설물 안전 관리 강화 부분도 추가됐다. 범정부 디지털 전환에 맞춘 투자 확대와 내부 스마트화 역량을 확보에도 초점을 뒀다.
해상운송 분야에서는 2024년까지 부산항과 인천항에 로봇과 IoT 장비가 입출고를 확인하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재고를 관리하는 스마트 물류센터를 구축한다.
2025년까지 디지털 트윈으로 항만과 배후도시 교통 상황을 구현해 최적 운송시간과 운송경로를 운송사에 제공하고 물류 흐름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해상물류 스타트업 기업의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해상물류와 관련된 신기술을 항만과 실제 해역에서 검증할 수 있는 통합성능검증센터도 조성할 계획이다.
기존 과제인 자율운항선박 개발, 자동화·스마트 항만 구축, 컨테이너를 비롯한 물류자원 공유경제 플랫폼 완성 등을 안정적으로 추진한다. 글로벌 해상물류 경쟁을 선도 과제들도 발굴한다.
수산 분야에서는 어촌뉴딜 사업과 연계해 낙후된 어촌 디지털 인프라를 개선할 계획이다.
또 어항 시설물 관리에 사물인터넷(IoT)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어항 구축도 함께 추진한다.
방파제, 테트라포트 등 사고가 빈발하는 위험구역과 부두에 동작감지가 가능한 폐쇄회로(CC)TV와 가속도계 등 최신 계측장비를 설치해 어항 작업자들의 안전관리를 디지털화 하고, 어항 관리 효율성을 한층 높인다.
해양수산 종사자의 안전과 해양레저·관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들 분야에도 디지털 신기술을 접목해 해양수산업을 넘어 국민의 일상까지도 스마트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항만 노동자의 안전을 책임지는 스마트 항만안전플랫폼을 올해 부산항에서 시범 운영한 후 전국 항만으로 확산한다.
또 항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잠재적 사고요인을 사전에 감지한 후 제거하고, 항만 크레인에 영상인식 장치를 설치해 근로자와의 충돌을 방지한다.
어선원 안전을 위해 2024년까지 조업 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끼임 사고 방지를 위해 동작감지형 양망기를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다.
2026년까지 인공지능(AI) 어선설계 플랫폼을 개발해 어민에게 사고 위험이 낮은 어선 설계도를 제공한다.
행정 관련해서는 2024년까지 공동 문서작업 플랫폼과 메타버스를 활용한 보고방식을 도입한다.
업무 자동프로세스를 개발해 해수부 직원이 단순·반복 업무에서 벗어나 현장과 소통하고 정책고민에 전념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 정책 품질을 높인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스마트화 전략 2.0'을 통해 시대적인 변화에 단순히 대응하는 데에서 나아가 디지털 전환 시대를 해양수산 분야가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해양수산부는 디지털화 등 최근 급변하는 정책 환경에 발맞춰 2019년 수립한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을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전략 2.0'으로 확대·개편했다고 9일 밝혔다. 자료/해양수산부
세종=용윤신 기자 yonyo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