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와이바이오로직스)
[뉴스토마토 동지훈 기자]
와이바이오로직스(338840)가 정부 지원을 받아 현 PD-(L)1 면역항암제의 효능 한계를 뛰어 넘는 차세대 면역항암제 개발을 가속화합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다중항체-사이토카인 융합체(Multi-AbKine) 기반 면역항암제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의 '2025년도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개발사업 바이오 특화단지 지원과제'에 선정됐다고 2일 밝혔습니다.
이번 과제 핵심은 'PD-1을 포함한 두 개의 면역관문 타겟을 동시에 차단하는 이중항체에 사이토카인을 융합한 혁신 물질의 제조 기술' 개발입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앞으로 4년6개월간 정부에게 총 58억원을 지원받습니다.
와이바이오로직스 본사와 연구소가 위치한 대전광역시 유성구는 혁신신약 오픈이노베이션 거점으로 2025년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된 바 있습니다. 이번 과제는 특화단지 내 유망 초격자 기술을 보유한 기업의 R&D를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는 핵심 사업입니다.
와이바이오로직스 주관하에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대전테크노파크, 국가독성과학연구소(KIT),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등 특화단지 내 주요 연구기관들도 과제에 참여합니다.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삼성서울병원도 역외 협력기관으로 합류해 산학연병 협력 체계 구축을 마쳤습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키트루다' 등 현재 면역항암제 시장을 지배하는 PD-(L)1 항체의 효능 한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차세대 면역항암제 제조 기술을 개발해 임상시험 1상 진입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연간 매출 40조원을 돌파한 키트루다는 다양한 암종에서 뛰어난 치료 효과를 입증하며 표준 치료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다만 PD-(L)1 항체는 단독 투여 시 약 30%의 환자에서만 반응을 보이며, 나머지 70%는 치료 불응이나 재발을 경험하는 근본적 한계를 보입니다.
와이바이오로직스는 자체 보유한 PD-1 항체 '아크릭솔리맙'에 추가적인 면역 활성화 기전을 가진 항체를 결합한 이중항체를 제작했습니다. 여기에 T세포 등 면역세포의 증식과 활성을 조절하는 사이토카인을 융합해 PD-(L)1 불응암을 극복하고 재발까지 차단하는 접근법을 구현할 계획까지 수립했습니다.
와이바이오로직스 관계자는 "최근 임상 결과들이 이중항체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지만, 여전히 불응·재발암에 대한 미충족 의료 수요는 막대하다"며 "이번 과제를 통해 이중항체-사이토카인 융합체 개발을 가속화해 기존 면역항암제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동지훈 기자 jeehoo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