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잡학사전)과음 뒤 바로 자면 역류성 식도염 생겨

연말연시 잦은 술자리 위험…기름지고 맵고 짠 음식 피해야

입력 : 2020-01-14 오전 6:00:00
[뉴스토마토 정기종 기자] #직장인 A씨는 최근 매일 아침을 헛구역질과 함께 하루를 시작한다. 하루건너 잡힌 송년회 및 신년회 때문에 과음을 피할 길이 없었고, 덕분에 아침마다 숙취에 허덕이며 소화도 잘 되지 않았다. 급기야 술을 마시지 않아도 극심한 속 쓰림과 함께 가만히 있어도 신물이 올라오기에 이르렀다. 고민 끝에 병원을 찾는 A씨는 '역류성 식도염'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연말연시 각종 송년회와 신년회 등 잦은 술자리로 역류성 식도염을 앓는 직장인들이 늘고 있다. 밤늦게까지 술자리를 갖고 음식물을 제대로 소화시키지 않은 채 잠들면 위로 내려가 소화돼야 할 음식이 식도로 다시 올라오는 역류성 식도염의 위험이 높아진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 점막에 손상을 입히는 질환이다. 위가 건강한 경우에는 위와 식도의 경계 부위가 잘 닫혀져 있지만 이 기능이 약화되면 위와 식도 사이에 위치한 하부식도괄약근이 느슨해지면서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게 된다. 주요 증상으로는 목의 이물감, 가슴 쓰림, 소화불량, 속이 울렁거리고 어지러운 느낌, 신물 오름 등이 있다. 특이적으로 오랜 기간 잘 낫지 않는 만성 기침, 잦은 트림, 쉰 목소리, 구취 등의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각종 모임이 몰리는 12월과 1월에는 위식도 역류 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위식도 역류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의 수는 꾸준히 늘고 있으며, 월별로 분류 했을 때 매년 12월이 평균 74만4843명으로 연간 가장 많은 환자수를 기록했다.
 
과음이 이어지는 연말연시는 소화기계 질환자에게 치명적이다. 안주로 많이 먹는 기름진 음식은 하부식도괄약근의 압력을 줄인다. 식사 후에 바로 눕는 습관 또한 역류성 식도염의 주된 원인이다. 이러한 모든 요인이 충족되는 시기가 바로 매년 12월과 1월이다. 
 
김승한 고려대 구로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기름진 음식 섭취와 음주만으로도 위 점막이 손상되는데, 이를 제대로 소화시키지 않고 바로 취침하는 습관과 얼큰한 국물로 해장을 하는 습관은 역류성 식도염을 악화시키는 행위"라며 "술자리를 피할 수 없다면 최대한 음주량을 줄이고, 기름기가 많고 자극적인 안주는 멀리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역류성 식도염은 최근 20~30대의 젊은 층에게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불규칙한 생활과 스트레스가 위식도 역류 질환의 원인임을 보여준다. 비만 또한 주요 원인 중 하나다. 
 
치료는 초기 증상에 따라 위산분비 억제제 또는 제산제, 장운동 촉진제 등을 통해 약물치료를 실시한다. 증상이 없어졌다고 해서 바로 약물치료를 임의로 중단하면 역류성 식도염이 다시 재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치료 일정을 준수한다.
 
꾸준한 약물치료 뿐만 아니라, 생활습관을 개선해야만 역류성 식도염 재발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다. 우선 복압이 높아져 역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식과 폭식은 삼가고, 식사 직후 눕거나 웅크리는 자세는 지양한다. 음주는 물론 흡연 또한 역류성 식도염의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금연, 금주는 필수다.
 
역류성 식도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습관부터 바꿔야 한다. 기름지거나 맵고 짠 음식은 위식도 점막을 자극하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특히, 과식 후 더부룩하고 소화가 안 될 때 시원한 커피나 탄산음료를 마시는 습관은 역류성 식도염을 악화시킨다. 역류성 식도염은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방치 시에는 식도 궤양, 바렛 식도, 드물지만 식도암으로도 발전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김승한 교수는 "대부분의 환자들이 일시적인 약물치료와 식습관 개선으로 증상이 개선되면, 곧 방심하게 돼 예전의 나쁜 습관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라며 "역류성 식도염 치료의 핵심은 건강한 생활습관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과음이 이어지는 연말연시는 소화기계에 악영향을 미쳐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늘 수 있다. 사진/고대 구로병원
정기종 기자 hareggu@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정기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