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오세은 기자]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가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하고 이사회 거버넌스를 강화합니다.
서울 서초구 현대자동차·기아 본사. (사진=뉴시스)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는 이달 사별로 열린 정기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을 승인하고, 초대 선임사외이사로 심달훈 사외이사(현대차), 조화순 사외이사(기아), 김화진 사외이사(현대모비스)를 각각 선임했다고 27일 밝혔습니다.
선임사외이사 제도는 사외이사의 대표 격으로 선임사외이사를 선출해 사외이사의 권한과 역할을 강화하는 제도입니다. 국내 금융권의 경우 ‘금융사 지배구조법’에 의거해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국내 법령상 비금융권 기업은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 의무가 없지만, 현대차그룹 3사는 사외이사의 경영진 견제 기능을 강화해 경영 투명성을 높이고, 이사회가 보다 균형 잡힌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선임사외이사는 사외이사만이 참여하는 회의를 소집하고 주재할 권한을 갖습니다. 사외이사들을 대표해 경영진에 경영자료 및 현안 보고를 요청하고, 사외이사들의 의견을 모아 이사회와 경영진에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이밖에 사외이사진과 경영진, 주주 간 원활한 소통도 이끕니다.
현대차그룹 3사는 제도 도입을 통해 사외이사진이 이사회 의사결정 과정에 보다 자주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3사는 선임사외이사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사외이사회’도 신설했습니다. 이사회 개최 전 사외이사들이 이사회 안건에 대해 독립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원으로, 각 사는 사외이사 전원으로 사외이사회를 구성해 운영할 방침입니다.
이에 앞서 3사는 지난달 사별 이사회에서 이사회 산하 보수위원회와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도 확대했습니다. 이사회 내 위원회를 사외이사 중심으로 구성해 각 위원회의 독립성을 증대하기 위한 취지입니다.
보수위원회는 등기이사 보수한도 등을 심의하고 의결하는 위원회이며,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사외이사 후보를 추천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위원회입니다. 이사회 결의로 3사 이사회의 보수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 체제로 전환했으며,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는 사내이사 1인을 제외한 모두가 사외이사로 구성됐습니다.
3사는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과 더불어 사외이사회 신설, 이사회 내 위원회의 사외이사 비중 확대 등 이사회 제도 개선을 통해 더욱 투명한 경영 의사결정 체계를 갖추게 됐습니다.
오세은 기자 os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