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주유엔 대한민국 대표부에서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과 면담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한동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참석을 계기로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을 만나 직접 통화스와프와 관련해 "상업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양국의 이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전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대통령이 한·미 관세 협상에 직접 뛰어들면서 협상의 '중대 분수령'이 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베센트 장관 접견에서 "최근 미·일 간 대미 투자 패키지에 합의가 있었지만 한국은 경제 규모, 외환시장 및 인프라 등 측면에서 일본과 크게 다르다"고 밝혔다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뉴욕 현지 언론 브리핑에서 전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직접 "이런 측면도 고려해 협상이 잘 이뤄지길 바란다"고 밝혔고, 베센트 장관은 "이 대통령님의 말씀을 충분히 경청했고 내부적으로도 충분히 논의하겠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베센트 장관은 "한·미 동맹은 굳건하며 일시적 또는 단기적으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나 충분히 잘 극복할 수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도 한국이 미국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으며 특히 조선 분야 등에서 한국은 매우 중요한 파트너라는 점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고 전했습니다.
이 대통령의 이번 요청은 외환보유액 등을 고려할 때 5500억달러를 직접투자하는 일본과는 상황이 다르다는 걸 직접 언급한 건데요. 이는 우리 정부가 미국에 요청한 통화스와프를 재차 강조한 셈입니다.
이와 관련해 김 정책실장은 "문제로 제기된 외환시장에 관한 주무 장관이 베센트 장관이고, 이 대통령께서 직접 그 부분을 상세히 설명했기 때문에 이후 3500억달러 투자 패키지의 협상 과정에서 중대 분수령이라고 본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재 한·미 관세 협상은 직접투자를 요구하는 미국과 통화스와프를 요구하는 한국의 입장 차이로 인해 교착 상태에 빠져 있습니다.
한·미 관세 협상의 실타래는 오는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 한·미 정상 간 만남에서 풀릴 전망입니다. 김 정책실장은 "한·미 정상 간에 면담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협상팀 입장에서는 중요한 계기"라고 언급했습니다.
한편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이날 베센트 재무장관을 만나 통화스와프를 포함한 환율 협상을 논의했습니다.
한동인 기자 bbha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