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AI 이용 원칙 바로 세워야"…첫 안보리 주재

AI·국제평화·안보 주제…"새끼 호랑이인 AI, 맹수 될 수도 케데헌 더피 될 수도"

입력 : 2025-09-25 오전 7:24:24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안전보장이사회 의장 자격으로 공개 토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박주용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한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공개 토의를 주재하며 "명과 암이 공존하는 AI(인공지능) 시대의 변화를 기회로 만들 방법은 국제사회가 단합해 '책임 있는 이용'의 원칙을 바로 세우는 것뿐"이라고 밝혔습니다.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이 대통령은 이날 유엔본부에서 'AI와 국제 평화·안보'를 주제로 열린 안보리 공개 토의에서 "우리가 AI라는 도구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에 따라서 우리 앞에는 전혀 다른 미래가 펼쳐지게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AI를 잘 활용한다면 저성장, 고물가 같은 난제를 해결해서 새로운 번영의 길을 열어내고 의료, 식량, 교육 등 여러 문제에 해답을 줄 수도 있다"면서도 "그러나 변화에 대비하지 못한 채 끌려간다면 극심한 기술 격차가 '철의 장막'을 능가하는 '실리콘 장막'으로 작동해 전 세계적인 불평등과 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이 대통령은 '현재의 AI는 새끼 호랑이와 같다’는 제프리 힌튼 교수의 말을 인용하며 "우리 앞의 새끼 호랑이는 우리를 잡아먹을 사나운 맹수가 될 수도 있고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나오는 사랑스러운 '더피'가 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또 AI가 군사 분야에서도 양면성을 띠고 있다고 꼬집었습니다. 이 대통령은 "AI를 잘만 활용하면 WMD(대량살상무기) 확산을 감시하는 등 분쟁을 예방하고 평화를 유지하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도 있다"며 "우리가 보낸 인도적 지원이 적재적소에 신속하게 도달하도록 만들어 국제 평화와 안보를 튼튼히 하는 일에 기여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다만 이 대통령은 "이 무시무시한 도구가 통제력을 상실한다면 허위 정보가 넘쳐나고 테러,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는 디스토피아의 미래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AI발 군비 경쟁'으로 안보 불안은 더욱 커질지 모른다"고 우려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이제 AI 시대에 변화한 안보 환경을 분석하고 공동의 대응 방안을 찾아내야 한다"며 "대한민국은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AI가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도록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주도하는 길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토의 직전 약식 브리핑에서 "AI 관련해 전 유엔 회원국을 대상으로 열리는 첫 공개 토의 주재를 맡게 돼서 매우 의미 있게 생각한다"며 "이제 AI라는 새로운 위협과 도전에 걸맞은 새로운 거버넌스를 모색해야 될 때"라고 했습니다. 
 
박주용 기자 rukao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박주용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