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 파업 '노사 입장' 평행선…정부 '중재' 나서

대통령실·고용부, 노사 면담 통해 의견 청취
노조 측 “공사 감독기관으로 정부 지도 필요”

입력 : 2025-10-10 오후 2:45:55
[뉴스토마토 안창현 기자] 공항 노동자들의 총파업이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공항공사와 자회사, 노동조합 간 입장 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파업이 계속되는 모습입니다. 대통령실과 고용노동부가 노사를 면담하며 중재에 나섰지만, 노사 협상엔 별다른 진척이 없습니다. 노조 측은 정부가 현장 점검과 의견 청취에 머물지 말고 뚜렷한 해결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는 10일 오전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전면파업 10일 차 결의대회를 열었습니다. 지난 1일 총파업에 돌입한 이후에도 노사 협상 자리는 마련되지 못했습니다. 추석 연휴를 앞둔 2일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이 노사관계안정단을 파견, 노조와 사측 관계자들을 개별적으로 만났지만 합의점을 얻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천국제공항공사 자회사 관계자는 “중부노동청에서 노사관계안정단 위원과 근로감독관, 노사상생 담당자들이 나와 회사 경영진, 노사관계 담당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가진 건 사실”이라며 “중부노동청에서 노조, 공사 측과도 대화를 나눈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노사 간 합의점을 도출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닌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노조 측은 정부가 공사의 감독기관으로서 공공기관의 책임 회피를 방치하지 말고 법적·제도적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전국 15개 공항을 운영하는 인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가 100% 출자해 만든 자회사들의 열악한 노동환경과 불공정 계약관계를 개선하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도해야 한다는 겁니다. 
 
민주노총 공항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 조합원들이 10일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전면파업 10일 차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 (사진=뉴시스)
 
노조 관계자는 “올해 3월 인천공항에서 20대 청년 교대제 노동자가 야간근무 중 사망하는 등 8월까지 5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고, 9월에는 30대 청년 노동자가 야간근무 중에 발작을 일으키는 응급 상황도 발생했다”며 “더 이상 공항에서 죽음이 반복돼선 안 되고, 노동 안전과 산재 예방을 위한 합의 이행이 시급하다”고 지적했습니다.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와 함께 파업을 시작한 전국공항노조는 지난 4일 이후 총파업을 보류한 상황입니다. 14일 대통령실과의 면담 일정이 잡히면서 이를 감안해 파업을 일시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면담엔 대통령실 이옥남 노동비서관과 배진교 국민경청비서관 등이 참석하기로 했습니다. 이들은 이정기 한국공항공사 사장 직무대행 및 자회사 사장들과 이번 파업에 관한 현안을 논의할 걸로 보입니다. 
 
노조 관계자는 “추석 연휴 기간에 귀성길 인파로 전국 지방 공항들의 운영 차질이 우려돼 총파업을 보류하기로 한 것”이라며 “대통령실 면담 이후에도 뚜렷한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다시 파업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공항공사와 자회사 계약에서 92% 수준의 낙찰 단가가 적용되는 등 저임금 구조의 불공정 계약관계는 공사가 직접 계약 제도를 바꿔야 하는 문제”라며 “정부가 현장 방문만 할 게 아니라 현실적인 대안과 해결책 제시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안창현 기자 chahn@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안창현 기자
SNS 계정 : 메일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