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전 막차 타자’…신고가 거래 속출

10·15 대책 직전 서울·수도권 매수세 집중
신고가 경신 잇따르자…전세가 상승 우려↑

입력 : 2025-10-20 오후 2:32:29
[뉴스토마토 송정은 기자] 10·15 부동산 대책 발표를 앞두고 서울과 수도권 주요 지역에서 신고가 거래가 속출했습니다. 규제 시행 전 마지막 기회를 잡으려는 실수요자와 투자자들이 몰리면서 단기간에 수억원이 오른 가격에 거래가 이뤄진 사례도 나타났습니다. 
 
20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양천구 ‘래미안목동아델리체’ 전용 59.82㎡는 지난 15일 15억5000만원(22층)에 거래되며 단지 내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6월 같은 면적이 14억2000만원에 거래됐던 점을 감안하면 넉 달 만에 약 1억3000만원이 오른 셈입니다. 성동구 ‘왕십리자이’(59.99㎡)도 같은 날 15억5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서울 강남구의 한 아파트 단지. (사진=송정은 기자)
 
잇따른 서울 아파트 신고가 경신은 규제 시행 직전 대출을 활용한 막차 수요가 집중된 결과로 분석됩니다. 10·15 대책에 따라 서울 전역과 경기 일부 지역이 규제지역으로 지정되며, 16일부터 무주택자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은 70%에서 40%로 축소됐고 유주택자는 대출이 전면 금지됐습니다. 
 
이로 인해 규제 발표 당일 서울 주요 단지와 과천, 분당 등 수도권 핵심 지역에서도 신고가 거래가 잇따랐습니다. 과천 ‘래미안슈르’(84.94㎡)는 21억9000만원에 거래되며 단기간에 수억원이 오른 가격을 기록했습니다. 
 
강남·한강벨트 신고가 거래 쏠려…전세시장 불똥 튈까 우려
 
서울과 경기 아파트 신고가 거래는 10·15 대책 발표 이전부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부터 9월까지 서울 아파트의 신고가 거래 비중은 22%에서 24%로 상승했습니다. 10월은 아직 집계가 완료되지 않았으나 규제 발표 직전 집중된 거래로 인해 비중이 더 높아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특히 기존 규제지역과 핵심 입지를 중심으로 회복 흐름이 뚜렷했습니다. 9월 기준 서초구는 신고가 비중 54%로 가장 높았으며, 강남구 42%, 용산구 35%, 송파구 32%를 기록했습니다. 마포(44%), 성동(43%), 광진(50%) 등 새롭게 규제지역에 포함된 지역에서도 빠르게 신고가 비중이 증가하며 시장 회복세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이 같은 흐름은 영등포(29%), 양천(28%) 등 중간권 지역으로도 확산되고 있으며, 과천(57%), 분당(43%) 등 강남 접근성이 좋은 경기도 일부 지역에서도 유사한 양상이 관찰됐습니다. 다만 서울 외곽이나 비규제지역은 상대적으로 확산세가 더딘 모습입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10·15 대책을 가격 상단부 압력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특정 지역에 자금이 과도하게 몰리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합니다. 다만 가격 상승폭이 크지 않았던 지역까지 규제지역으로 묶인 불만이 적지 않다고도 분석합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 랩장은 “이번 대책은 실수요자의 진입 구간은 유지하면서 가수요와 투기성 자금의 확산을 차단하려는 위험 관리 조치로 보인다”며 “금리, 세제, 공급 정책의 일관성이 시장 안정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은선 랩장은 “규제 강화로 인해 매수 수요 일부가 전세시장으로 이동하면서 전세가 상승 우려도 제기된다”며 “당분간은 실수요자 중심의 중간가격대 거래가 이어지는 ‘선택적 회복’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관측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송정은 기자 johnnysong@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송정은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