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용인 연구소. (사진=대웅제약)
[뉴스토마토 동지훈 기자]
대웅제약(069620)이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플랫폼 구축 사업의 주요 연구 파트너로 참여해 차세대 신약 개발 환경 조성에 나섭니다.
대웅제약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K-AI 신약 개발 전임상·임상 모델 개발 사업'의 공동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7일 밝혔습니다.
이번 사업은 AI를 기반으로 한 국내 신약 개발 전 주기 생태계 조성의 일환입니다. 대웅제약은 '역이행 연구 설계 AI 소프트웨어 개발 과제에 참여합니다. 이번 과제는 삼성서울병원이 주관하며 강북삼성병원, 대웅제약 등 병원 및 제약기업이 함께하는 다기관 공동연구 체계로 운영됩니다.
과제 목표는 역이행 연구를 기반으로 전임상 및 임상 데이터를 통합 분석할 수 있는 AI 모델 개발입니다. 역이행 연구는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임상 단계의 연구 설계를 보완해 신약 개발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이고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접근 방식입니다.
대웅제약은 앞으로 4년간 항암·대사성 질환 연구에서 확보한 비임상 데이터를 AI 모델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합니다. 또 자사 신약센터에서 생산되는 연구 데이터를 활용해 개발된 AI 소프트웨어를 실제 연구에 적용하는 실증 작업도 진행할 방침입니다.
특히 대웅제약은 이번 과제를 통해 AI를 활용해 동물실험 모델을 보다 정교하게 설계하고, 비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상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 역량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동시에 자체 연구 과제에 특화된 AI 모델을 구축하고 고도화하는 데도 활용할 예정입니다. 이 밖에 항암 및 대사질환 중심의 AI 모델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질환 영역으로 확장 가능한 범용 임상 AI 플랫폼을 마련해 신약 파이프라인 확대에도 속도를 낼 구상입니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실제 모델 개발에 참여함으로써 연구 현장에서 직접 AI 기술의 발전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대웅제약의 연구개발 역량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AI를 기반으로 한 혁신적 신약 개발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동지훈 기자 jeehoo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