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가 14일 전체회의를 열고, 개인정보 유효기간제를 준수하지 않아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보통신망법)' 및 시행령을 위반한 8개 사업자에게 1억1000만원의 과태료와 시정조치 명령을 부과했다.
 
'개인정보 유효기간제'란 1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파기하거나 다른 이용자의 개인정보와 분리해 별도로 저장관리하도록 한 것으로, 지난해 8월18일부터 시행됐다.
 
 
앞서 방통위는 정보통신망법 시행령 개정으로 이용자의 개인정보 보관기간이 3년에서 1년으로 단축됨에 따라 주요 사업자의 개인정보 유효기간제 준수 여부를 기획 조사했다. 통신·포털·미디어·게임·쇼핑 등 5개 업종별 총 27개 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 8개 사업자가 정보통신망법을 위반해 시정조치가 이뤄졌다.
 
위반 유형은 ▲시행일인 2015년 8월18일 이후에도 개인정보 유효기간제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 ▲개인정보 유효기간제 시행 주기(영업일 기준 5일)를 위반한 경우 ▲개인정보 유효기간제를 일부 이용자에게만 적용한 경우 ▲광고 이메일을 단순 클릭해도 이용으로 인정한 경우 등이다.
 
방통위는 통신, 포털 등 대규모 사업자가 앞장서서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령을 준수해야 함에도 위법행위가 발생한 것은 큰 문제라고 판단해 7개 주요 사업자에게는 현행 법령에서 정하는 최고 금액 150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방통위는 "앞으로도 과다한 개인정보 보유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개인정보 유효기간제가 철저히 준수되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jpg) 
사진/뉴스토마토
 
 
 
김미연 기자 kmyttw@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