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컨트롤 타워 부재"

천은미 교수, "최신 정보 제공돼야"
정재훈 교수, "데이터의 완전한 개방은 개인정보 보호 때문에 어렵다"
백순영 교수, "데이터 조율할 컨트롤 타워 부재"

입력 : 2022-09-04 오후 12:00:00
 
이기일 보건복지부 2차관이 지난 7월7일 서울 연세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를 찾아 의료데이터·인공지능 연구개발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보건복지부 제공)
 
[뉴스토마토 고은하 기자] 최근 정부가 '코로나19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관련 안을 제시하면서 의료 빅데이터 부문에 이목이 쏠린다. 다만 대다수 전문가들은 최신 정보 제공의 부재와 데이터를 조율할 컨트롤 타워가 부재한 점을 지적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2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질병관리청으로부터 '데이터 확보 및 분석 기반 강화 추진 현황 및 향후계획'을 보고받은 바 있다. 질병관리청은 그간 축적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데이터를 연계해 외부에 개방하는 플랫폼을 구축해 연내 개통할 예정이다.
 
코로나19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안을 보면 질병관리청은 데이터 확보 및 분석 기반 강화 차원에서 △코로나19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전국 단위 항체 양성률 조사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즉 연구분석용 원천정보를 제공해 민간 연구를 활성화하고 분석을 고도화해 정책품질을 향상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해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정부의 빅데이터 구축 안을 외국과 비교하면 아쉬운 점이 많다"며 "해외에선 데이터가 수시로 나와서 이 데이터들이 의학저널 '란셋' 등에 데이터가 쌓인다"고 말했다.
 
이어 "데이터를 신청하면 6개월 이후의 데이터가 나온다"며 "현재 시점에 신청하면 지난해와 올해 초반의 자료를 준다"고 설명했다.
 
그는 "코로나19는 시시각으로 변하고 있다"며 "예를 들어 델타가 유행할 당시의 자료를 현재 시점에서 쓰게 되면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빅데이터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라며 "기존의 많은 연구자들이 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있어 절차와 체계 등을 갖췄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공모를 통해서 빠른 데이터 제공을 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정 교수는 현재 건강보험 청구 자료는 3개월 전 자료까지 완전히 제공되고 있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하기엔 충분한 기간이라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모든 연구자에게 데이터를 완전히 공개하기엔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는 전 국민의 개인정보가 담겨있기 때문이라고 제언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이번 코로나19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은 제약사들이 연구개발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데이터 3법 개정으로 인해 민간 정보로 분류돼 있는 의료 정보 부분이 감염정보라서 활용할 수 있게 됐다"라며 "결국 중요한 건 환자의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환자의 동의가 기본적으로 이뤄져야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감염병에 대한 데이터를 DB로 구축하면 감염병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게 된다"며 "당장은 데이터가 즉각적으로 사용되지 않더라도 향후 다른 감염병이 생기면 의료기관, 환자 등이 익숙하게 DB 구축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고 피력했다.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는 "각 부처간의 데이터 공유, 데이터 생성 이런 부분들이 미진하다"며 "질병청, 국립보건원, 복지부, 식약처 간 데이터를 사용하는 데 협의들이 충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어떤 데이터를 생성하고 사용할지에 대한 의논이 있어야한다"며 "현재 전체적으로 조율이 미진한건 컨트롤 타워의 부재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고은하 기자 eunh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고은하 기자
SNS 계정 : 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