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범종 기자] 조영기 한국게임산업협회장이 29일 서울 코엑스에서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게임이용장애 저지 등 업계 위기 극복과 산업 성장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이날 조 회장은 "대한민국 게임 산업은 지난 30여년 간 폭발적인 성장을 통해 23조원에 이르는 시장 규모로 성장했다"며 "2023년 정점을 찍은 이후 국내 게임산업 시장 기능이 정체에 이르고 있고, 외산 게임들의 점유율이 증가하면서 국내 업체들의 실질적인 매출액은 조금 떨어지는 상황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러한 일련의 위기 상황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게임 업계가 처한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성장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조영기 한국게임산업협회장이 29일 서울 코엑스에서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기자들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이범종 기자)
"게임 산업 생태계 복원"
조 회장은 향후 협회 운영 방향으로 '연결·소통·협력'을 제시했습니다. 그는 "젊은 인재와 기업, 젊은 기업과 기업, 기업과 글로벌 파트너사 간 연결을 통해 안으로는 젊은 인재들의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고, 게임산업의 선순환적인 건전한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또 "회원사 간 원활한 소통을 통해 공통의 이슈를 발굴하고 해결해 나가는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게임 이용자 및 유관 단체와의 소통을 강화해 게임 산업 전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정부 기관과 국회를 비롯해 언론, 학계, 법조계, 협단체 등과 보다 적극적인 협력 구조를 만들어 게임 산업의 성장을 저해하는 규제를 완화해 나가고, 진흥 방안을 발굴하고 제안해 실행되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질병코드 도입 땐 업계 자존감 떨어져"
조 회장은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도입 논의에 대해 "게임은 효자 종목이고 진흥의 대상이 돼야 되는 산업인데, 이게 자칫 질병코드가 도입이 되면 관리나 규제의 대상이 되고 그러면 또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 e스포츠에 종사하는 우리 선수들의 자존감이 굉장히 많이 떨어질 것 같다"고 우려했습니다.
이어 "아직 과학적으로도, 의학적으로도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부분이기 때문에 충분한 법률 검토를 통해 다시 논의가 돼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 글로벌 게임 산업 단체와 공조해 WHO ICD-11에서 게임이 빠질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밖에 조 회장은 "게임 회사들한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DB(데이터 베이스), 글로벌 연결 같은 사업을 통해 협회의 존재 이유를 명확히 하고, 회원사 확대에도 노력하겠다"며 "올해 10개 회원사를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범종 기자 smil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