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건설사 폐업…“지원책 시급”

악성 미분양 증가에…건설업체 신규등록 줄고 폐업 늘고
이재명 대통령 “신도시 공급 속도 올린다”…업계 영향 주목

입력 : 2025-07-03 오후 3:49:54
 
[뉴스토마토 송정은 기자] 주택건설경기 침체에 지방의 중소·중견 건설사들의 ‘고난의 행군’도 길어지고 있습니다. 
 
지방 건설업계는 공사비 상승, 악성 미분양 증가, 착공 감소 등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압박에 견디지 못한 업계의 폐업건수는 해마다 증가하는 등 악화일로입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획기적인 세제 혜택과 공공공사 위주의 지방 발주 물량 증가 등이 지방 건설업황을 살릴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그래프=뉴스토마토)
 
종합건설업체 폐업 전년 대비 9.18%↑…지방 악성 미분양도 증가세
 
3일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5월 폐업한 종합건설업체는 214곳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96곳보다 9.18% 증가했습니다. 반면 신규 등록한 종합건설업체는 180곳으로 전년 대비 6.73% 줄어들었습니다. 
 
자금난을 견디지 못하고 법정관리를 신청한 중견 건설사도 11곳에 이르는데, 이중 지난해 기준 시공능력평가 100위 안에 드는 업체도 4곳에 달합니다. 
 
이처럼 신규 등록은 줄고 폐업은 늘어나는 현상은 지방을 중심으로 준공 후 미분양, 이른바 ‘악성 미분양’의 증가가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의 5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6678호로 전월 대비 1.6% 감소했지만, 악성 미분양은 2만7013호를 기록하며 약 1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올 1월부터 5월까지 전국 공공공사 발주물량은 전년 대비 23.3%, 토목공사는 38.7%나 감소하는 등 업황 침체는 수치로도 확인할 수 있다”며 “특히 지방은 인구감소와 인프라 부족 등 복합적 원인이 합쳐져 주택 수요 자체가 많이 위축됐다. 지방의 악성 미분양 물량이 늘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부산 광역시의 한 신축 아파트 공사 현장. (사진=송정은 기자)
 
“공공공사 발주 증가·획기적 세제 혜택 등 지원책 절실”
 
전문가들은 침체된 지방 건설 경기를 살릴 수 있는 현실적 방안으로 악성 미분양 해소를 위한 세제 혜택, 공공공사 위주의 발주 증가 등을 꼽고 있습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은 “지방 미분양 증가는 인구감소와 인프라 부족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현상이다 보니 단순한 접근으로는 해결이 어렵다”며 “당장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꼽자면 취득세·양도소득세 감면, 임대사업자 제도 활성화 등이 있다. 일단 지방의 집을 손쉽게 구입할 길을 뚫어준다면 지방 건설업계도 급한 불은 끌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박철한 연구위원은 “공공위주의 공사 물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 작년까지만 해도 지방에는 어느 정도 주택 입주 물량이 있었는데, 올해는 이마저도 줄면서 업계 일감이 줄고 있는 추세“라며 “이런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기존 계획된 신도시가 아직 많이 있지만 실제 공급이 안되고 있다며, 공급 속도를 올리겠다고 언급한 것은 긍정적 신호로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송정은 기자 johnnysong@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송정은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