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전연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일본과 무역 협상을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철강과 알루미늄 등 일부 품목에 대해선 50%의 관세가 유지됐습니다. 8월1일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미국이 잇따라 주요 무역 상대국들과 협상을 완료하는 모양새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7월 15일 화요일 워싱턴 백악관 남쪽 잔디밭에 도착한 후 마린 원에서 걸어나오고 있다. (사진=AP제공,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일본에 대한 상호관세는 15%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당초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했던 25%에서 10%포인트 낮아진 수준입니다. 그간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의 협상에 불만을 드러냈지만 일본으로부터 대규모 투자와 시장 개방을 약속 받고 관세율을 인하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일본과 거래를 마쳤다"며 "아마도 지금까지의 협의 중 최대 규모일 것"이라고 적었습니다.
이어 그는 일본이 합의에 따라 미국에 5500억달러를 투자할 것이며 이를 통해 수십만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일본이 자동차와 트럭, 쌀과 일부 다른 농산물 시장을 미국에 개방할 것이란 점이 가장 중요하다고도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NHK>는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는 기존 50%로 유지된다고 밝혔습니다. 일본 정부가 계속해서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면제를 미국에 요청해 왔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쟁점이었던 자동차에 대해서는 기존 25% 추가 관세율을 12.5%로 낮추고 기존 관세율 2.5%와 합쳐 1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미국이 관세 인상 폭을 일부 조정하는 방식으로 양국이 절충안을 찾았습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관련 계약을 체결할 것이라고도 말했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번 합의는 정부가 국익을 지키는 동시에 미·일 양국이 힘을 모아 일자리를 창출하고 우수한 제품을 만들며, 세계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필리핀과도 무역협상을 마쳤습니다. 필리핀과는 기존 통보했던 20%에서 1%포인트 낮춘 19%의 상호관세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이로써 미국과 무역협상을 완료한 국가는 영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에 이어 일본까지 총 5개국으로 늘었습니다.
전연주 기자 kiteju1011@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