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완성차업계, 관세 대응 위해 북미 생산 확대”

미국 현지 중심 생산 구조로 전환

입력 : 2025-07-27 오전 11:46:45
[뉴스토마토 박창욱 기자] 글로벌 완성차업계가 미국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북미 생산 확대 전략을 펼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단기적으로는 캐나다, 멕시코 생산을 활용하면서 장기적으로는 미국 중심의 생산 구조를 짜고 있다는 것입니다.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야적장에 수출용 자동차들이 세워져 있다.(사진=뉴시스)
 
27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가 공개한 ‘미국 신정부 출범 6개월, 자동차 산업 공급망 중간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미 자동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는 멕시코와 캐나다 생산 거점을 통해 연간 4억~5억달러 규모 관세 부담 중 최소 30%를 상쇄할 계획입니다.
 
앞서 미 정부는 지난 4월3일부터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5월3일부터는 자동차 부품으로 25% 관세 조치를 확대했습니다. 다만 자유무역협정의 하나인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에 따라 멕시코·캐나다산 제품이 원산지 요건을 충족할 경우 관세를 면제하고 있습니다.
 
스텔란티스는 멕시코와 캐나다의 조립공장을 기존처럼 운영하면서 일부 모델은 미국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고, 포드는 USMCA 기준을 충족하고자 멕시코와 미국 내 유통 경로를 재설계하고 있습니다. 도요타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있는 엔진과 파워트레인 설비를 북미 생산 기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장기적으로 미국 내 부가가치를 높이고 공급망 위험에 대응할 수 있도록 미국 중심 생산 구조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GM은 미시간, 캔자스, 테네시주에 있는 3개 공장에 앞으로 2년간 40억달러를 투자하고, 멕시코 생산 물량 일부는 미국 내에서 조립되도록 전환할 계획입니다. 포드는 테네시, 미시간, 켄터키에서 총 100억달러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생산 시설 구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핵심 부품 공급사에는 미국에 공장 설립을 제안하면서 2∼3년 안에 설비를 가동하면 공급 물량을 확대하겠다는 조건 등을 내세워 현지 생산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스텔란티스는 약 50억달러를 투자해 일리노이주 조립공장을 재가동하고 디트로이트, 톨레도, 코코모 등 주요 공장의 설비를 현대화할 계획입니다. 미시간에는 3억8800만달러 규모의 자동차 부품 물류허브를 신설합니다.
 
보고서는 “고율 관세 회피와 무관세 혜택 유지를 위한 압력이 강화되면서 북미 중심으로의 공급망 재편 압력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면서 “미국 내 생산은 비용 부담이 크지만, 자동화 가능성과 정책적 유인을 고려하면 장기적 대응 전략으로 재평가되는 추세”라고 분석했습니다.
 
박창욱 기자 pbtkd@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박창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