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규하 기자]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가 본격적인 궤도에 오릅니다. 국내 유일의 쇄빙연구선인 기존 아라온호보다 2배 큰 톤수와 50%가량 향상된 쇄빙력을 탑재한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2030년 북극해 전역 항해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해양수산부는 29일 극지연구소·한화오션과 함께 북극해 고위도 항해를 위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 계약 체결식'을 진행했습니다. 한화오션은 앞선 기술 심사에서 최적의 선체 형상, 우수한 내한 성능, 연구자 중심의 연구 공간 등 높은 평가를 받은 바 있습니다.
해수부의 주요 국책사업인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은 오는 2029년 12월까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기존 아라온호과 비교해 총톤수가 7507톤에서 1만6560톤으로 커집니다. 쇄빙 능력도 50%가량 향상됩니다.
해양수산부는 29일 극지연구소·한화오션과 함께 북극해 고위도 항해를 위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사진=해양수산부)
북극을 항해할 해당 쇄빙연구선은 추운 극지 환경에서 튼튼한 선체를 갖춰야 하는 특수 선박인 만큼, 한국 선급으로부터 쇄빙·내한 등의 성능 항목별 인증을 받게 됩니다. 특히 선박의 빙해 운항 성능과 안전 기준을 나타내는 국제선급협회연합(IACS)의 'Polar Class3(PC3)' 등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5m 두께의 얼음을 깰 수 있는 양방향 쇄빙 능력의 PC3는 2년생 얼음(다년 해빙) 조건에서 연중 운항이 가능한 수준을 말합니다.
엔진은 액화천연가스(LNG)와 저유황유의 이중연료 시스템이며 기능 고장을 고려해 4개 엔진을 탑재하는 식으로 설계했습니다. 아울러 옮기기 용이한 컨테이너 형태의 '모듈형 연구시설'도 탑재합니다. 100명의 승선 인원이 75일간 무보급으로 연구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선체 중앙에는 문풀(Moon Pool·쇄빙연구선 중앙부에 설치된 개구로 해양 시료 채취, 장비 투입, 해저 탐사 등을 위한 공간)을 설치해 북극 해양 탐사의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특히 차세대 쇄빙연구선이 북극에 투입되는 2030년 여름이면 북극해 전역의 항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존 아라온호의 임무 과중도 해소될 수 있어 실제 연구 가능 기간은 현 40여일에서 3~4배 수준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게 극지연구소 측의 설명입니다.
해양수산부는 29일 극지연구소·한화오션과 함께 북극해 고위도 항해를 위한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계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사진=극지연구소)
김명진 해수부 해양정책관은 "급격한 글로벌 조선 시황 호조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건조를 수행할 조선소를 찾지 못해 2차례(2023·2024년)나 유찰됐고 취항 시기도 당초 2027년에서 2030년으로 3년이나 연기되는 등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다시 재정 당국과 긴밀한 협의를 거쳐 올해 초 총사업비를 당초 2605억원 대비 571억원 증액한 3176억원으로 확정했다. 5월 공개입찰을 실시해 한화오션과 건조 계약을 체결하게 됐다"며 "가장 많은 쇄빙 LNG 운반선(15척)을 건조한 실적이 있으며 국내·외 해군 특수함정 건조 등 다양한 특수선 분야에서 독보적인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세계 최고 수준의 우리 기술력으로 건조될 차세대 쇄빙연구선은 과학 연구, 자원 협력 등 북극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인프라"라며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시작으로 북극항로의 지속 가능한 이용과 안전한 운항을 위해 필요한 인프라와 실측 기반 데이터를 꾸준히 쌓아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세종=이규하 기자 judi@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