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상민 기자] 서울에서 개최된 제47차 글로벌 프라이버시 총회(GPA)를 계기로 국내 인공지능(AI) 프라이버시 정책과 관련, 국제적 외연이 확대됩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7일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과 캐나다·뉴질랜드·홍콩 등 20개 개인정보 감독기구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AI 시대 개인정보 보호와 국제 데이터 거버넌스 구축 관련 공동 선언문에 대한 서명식을 진행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지난 2월 파리 AI 액션 서밋에서 프랑스, 영국, 아일랜드, 호주 개인정보 감독기구와 함께 고위급 원탁 회의를 개최하고 'AI 시대의 혁신 친화적 개인정보 정책에 대한 공동의 비전을 제시하는 공동 선언문'을 채택했습니다.
한국의 AI 정책에 공감대를 형성한 캐나다, 독일, 이탈리아 등 15개국 개인정보 감독기구가 공동선언문에 참여해 총 20개국으로 외연이 확대됐습니다.
선언문은 △개인정보 적법처리근거에 대한 다양한 적용 가능성 모색 △AI 리스크에 대한 과학적·비례적 접근 △개인정보 중심설계 등 내부관리체계 정립 △AI 혁신지원·국제공조 등 개인정보 감독기구의 주도적 역할 등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고학수 개인정보위 위원장은 "AI 심화 시대의 복합적 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 감독기구가 선제적·주도적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이번 공동 선언문 확장을 통해 혁신 지향적 AI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두번째줄 우측에서 아홉번째)이 9월17일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개최된 'AI 혁신 위한 프라이버시 공동 선언문' 확대 행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개인정보보호위원회)
신상민 기자 lmez0810@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