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백아란 기자]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인공지능(AI) 핵심 반도체인 고대역폭 메모리(HBM)4에 대해 “고객의 기준을 충족시키고 양산성까지 확보됐다”며 자신감을 내비쳤습니다.
SK하이닉스 곽노정 사장이 기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이명신기자)
곽 사장은 22일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제18회 반도체의 날’ 행사에 참석 후 기자들과 만나 “수립했던 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 중”이라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쌓아 만든 메모리로, 현재 SK하이닉스를 비롯한 삼성전자, 마이크론 등 글로벌 메모리사들은 내년 초 HBM4의 본격적인 양산을 계획 중입니다. 특히 HBM4의 경우 엔비디아의 차세대 AI 가속기 ‘루빈’에 탑재됨에 따라 시장 주도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도 예고되는 상황입니다.
곽 사장은 “인공지능(AI)산업이 강화되고 발전하면서 메모리 중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에 고객과 더 밀접하게 협력하면서 원하는 성능이나 특성 등을 맞춤식까지 포함해 잘 전달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며 “칩 서플라이어가 아니라 진정한 파트너로 거듭날 수 있는 것이 더 필요하고, (시총 200조 돌파나 주가보다는) 고객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목표를 잡으려고 한다”고 했습니다.
백아란 기자 alive0203@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