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협약에 따라 행정안전부와 네이버, 카카오는 국민이 일상적으로 활용하는 민간 플랫폼을 통해 공공서비스 혜택을 더욱 쉽고 편리하게 누릴 수 있도록 돕는 AI 에이전트 기능을 구현하는 데 적극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양측은 민간 AI 에이전트를 통해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AI 국민비서(가칭)' 시범 서비스를 연내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긴밀하게 협력할 예정입니다.
'AI 국민비서'는 민간기업의 AI 에이전트에 공공서비스를 연계해 국민이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일상적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전자증명서 발급·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공유누리) 등 국민 수요가 높은 공공서비스가 우선 적용 대상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이를 위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를 기반으로 AI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이를 공공서비스와 연계한 시범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시범 서비스는 네이버 웹과 앱을 통해 제공될 예정이며 향후 개인화 추천 기능을 함께 적용해 네이버 내의 다른 서비스와의 연계성을 높이는 등 이용 편의성을 한층 고도화해 나갈 방침입니다.
카카오는 다양한 공공기관의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를 카카오의 AI 기술과 연동해 'AI 국민비서'를 구현합니다. 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AI 모델 '카나나'를 적용해 사용자의 문맥과 의도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단순 정보 검색을 넘어 행동 가능한 응답과 서비스 실행까지 지원합니다. 이용자는 별도의 앱이나 로그인 절차 없이 카카오톡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시범 서비스 단계에는 전자증명서 발급 및 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 등의 기능이 제공됩니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AI 민주 정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민간의 혁신적인 기술과 협력이 필수적이다"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정부와 민간이 함께 힘을 합쳐 국민 누구나 말 한마디로 쉽고 편리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습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네이버는 디지털 서비스 개방 선도기업으로서 SRT 승차권 예매와 국세청 미환급금 조회 등 10개가 넘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그간의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협약이 미래 행정서비스 혁신의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유용하 카카오 AI에이전트 플랫폼 성과리더는 "행정안전부와의 이번 협약은 국민의 일상 속 공공서비스 접근 방식을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공공기관과 함께 AI 에이전트를 연결하는 생태계를 함께 구축해갈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 업무협약식'에서 윤호중(가운데) 행정안전부 장관, 최수연(오른쪽) 네이버 대표, 정신아(왼쪽) 카카오 대표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네이버)
신상민 기자 lmez0810@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