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표준화 '전략', 가시적 과제 '산적'

2030년까지 25종 이차전지 표준화 '청사진'
KS 제정 중인 K-배터리…국제는 장기전 불가피
표준화 전문성 강화…국제표준 주도권 확보 '관건'

입력 : 2025-11-13 오후 3:32:21
[뉴스토마토 이규하 기자] 정부가 셀, 모듈, 팩, 시스템 등 K-배터리에 대한 국가표준 10종·단체표준 6종을 제정할 계획입니다. 이차전지 표준화 재정 후 내후년 KS 표준이 마련되면 국제표준 주도권 확보에도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전망입니다. 다만, 제정에 속도를 내는 국내 표준화와 달리 국제표준화는 외교·기술적 과정 등 더욱 전략적이고 민감한 사안인 만큼, '장기전'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13일 산업통상부 국가기술표준원이 K-배터리 표준화 포럼을 통해 발표한 '이차전지 표준화 전략'을 보면, 2030년까지 국제표준 9종 등 총 25종의 이차전지 표준화 개발을 목표했습니다. 상용 이차전지와 관련한 셀 열폭주 발생 가스 분석 방법부터 차세대 이차전지, 사용후 전지까지 이차전지 산업 전 분야에 대한 표준 개발이 담겨 있습니다.
 
이번 이차전지 표준화 전략에 대한 대체적인 시각은 고무적입니다. 국표원, 유관기관, 산업계 등 다층적 협력 구조를 통한 산업 생태계 전반의 참여 기반 확보와 산업계 수요에 기반한 표준화 수립, 국제표준 9종, 국가표준 10종, 단체표준 6종 제정 목표, 4대 전략 12개 세부 추진 과제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지난 9월5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이차전지 소재·부품 및 장비전을 찾은 관람객이 배터리픽 자동 침수조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뉴시스)
 
사용후 전지 등 탄소중립·순환경제와 연계된 표준화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등 환경 정책과의 정합성도 확보했다는 분석입니다. 다만, 국제표준 주도권 확보를 위한 구체적 전략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이와 관련해 정부 관계자는 "국제연합(UN) 등 국제표준으로 하는 시점이 29년으로 돼 있다. 국제표준화 전략을 구체적으로 공개하긴 어렵다. 표준화 활동은 외교적·기술적 협상 과정이 매우 민감하고 전략적"이라며 "경쟁국과의 협력 및 견제 상황에서 공개가 오히려 국제 협상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ISO(국제표준화기구)·TC(기술위원회) 내 적극적인 참여와 간사국·의장단 진출 노력 등을 진행 중"이라며 "구체 전략 및 추진 방안은 내부적으로는 마련돼 있으나 대외적으로 공개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차세대 전지(전고체·리튬황·소듐이온 등)의 표준 개발이 기술 개발, 실증, 상용화 속도와 잘 맞물릴지에 대한 우려에 대해선 "그렇지 않다"며 "산업계가 요구하는 인증, 시험 인프라, 품질 관리 체계 구축과 표준화가 상호 보완적으로 설계됐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와 국표원 간 협력 등 표준개발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차전지가 새 정부 국정 과제에 부합하는 핵심 과제인 만큼, 이차전지 표준화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국표원 내 가칭 '이차전지 표준전략센터' 신설의 필요성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좋은 아이디어이나, 배터리 협회를 중심으로 이차전지 업계 의견을 모아 국제표준화 활동에 국표원 등이 같이 참여한다. 배터리 협회 중심의 운영을 유지하면서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지난 7월2일 서울 강서구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 순환경제 페스티벌에 재제조 전기차 배터리 팩이 전시돼 있다. (사진=뉴시스)
 
세종=이규하 기자 judi@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이규하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