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진하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정부의 공공기관 이전과 관련해 "해양수산부(해수부) 부산 이전을 놓고도 주변 지역에서 반발이 있지만, 공리적으로 합당하다면 다 수용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출입기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공공기관 이전에 대한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공공기관 이전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현재 해수부를 부산에 옮기겠다고 하니 대전이나 일부 충남에서 반발하고, 심지어 인천에서도 '왜 부산으로 가냐'고 지적한다"며 "이런 일은 정책 결정을 하는 입장에서 언제나 맞닥뜨리는 일이지만, 국민들의 시민의식 수준이 매우 높아 공리적으로 합당하다면 다 수용하더라"고 답했습니다.
또 해수부 이전이 필요한 이유도 설명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수도권에서 거리가 멀수록 지역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며 "충청까지는 (수도권으로) 출퇴근하고 소위 남방한계선이 점점 내려오고 있지만, 여기에 벗어난 호남이나 영남, 강원도, 경북 지역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과거 경기도지사 시절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을 거의 대부분 예외 없이 북부와 동부 서부 지역으로 옮겼던 경험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도지사 시절 경험에 비춰보면 여러 정책 결정 후에 도지사로서 지지도가 떨어졌다는 소리는 못 들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대전에 상륙한 우주항공청에 대한 질문에는 "일부에서 우주항공청 관련 연구 기관을 한쪽으로 몰자고 하는데, 참 어렵다"며 "지금 단계에서 확인하기 어려워 합당한 부분인지 고려해보고 어느 시점에 선택하겠다"고 답했습니다.
끝으로 이 대통령은 인천에 '해사법원' 이전 추진에 대해선 "수요가 있다면 인천에도 하고 부산에도 하고 그러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진하 기자 jh311@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