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교체 중징계에 단일화 변수까지…국힘 판세도 '요동'

'대선 단일화 거부' 부정적 이미지 떨친 김문수
'혁신파' 조경태, 단일화 요구…안철수 '시큰둥'

입력 : 2025-07-27 오후 6:03:42
[뉴스토마토 이효진 기자] 국민의힘 전당대회 판세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지난 대통령 선거 당시 후보 교체 시도에 연루됐던 친윤(친윤석열)계 당 지도부 두 명이 중징계를 받았습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단일화 거부로 생긴 부정적 이미지를 일부 벗으며 당권 도전에 힘을 얻게 됐습니다. 혁신파는 단일화로 반전의 기회를 노리고 있지만 진통이 예상됩니다.
 
지난 대선 '김문수-한덕수 후보 교체' 파동으로 권영세·이양수 의원에게 당원권 정지 3년의 중징계가 내려졌다.(사진=뉴시스)
 
권영세·이양수 '당원권 정지 3년' 중징계
 
27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이 권영세·이양수 의원에게 '당원권 정지 3년'의 중징계를 앞두고 있습니다. 지난 대선에서 '김문수-한덕수' 후보 교체 시도가 당헌·당규에 없는 불법행위라는 당무감사위원회 결과에 따른 것입니다. 최종 징계 여부와 수위는 당 중앙윤리위원회의 판단에 따라 확정됩니다.
 
유일준 국민의힘 당무감사위원장은 지난 25일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감사 결과 브리핑에서 "전당대회에서 후보가 결정된 경우, 경선 참여 후보와 선출된 후보 사이에서 후보를 최종적으로 정한다는 것은 비대위에 권한이 없다"며 "(후보 교체 시도는) 사상 초유의 사태로, 당헌·당규에 상정된 사안이 아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단일화를 거부했던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에겐 책임을 묻지 않기로 했습니다. 유 위원장은 "김 전 후보가 경선에서 단일화 마케팅을 하고 선출된 후에 다른 태도를 보여서 다수가 배신감을 느낀 건 사실이다. 비난받을 여지가 다분하다"면서도 "단일화 약속을 이행하지 않은 데 대한 당헌·당규상 처벌 규정이 없어서 넘어가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감사위의 이번 결정으로 김 전 장관의 당권 도전도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이날 감사위 발표로 단일화 거부와 관련된 부정적 평가를 일부 해소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현재 김 전 장관은 다수 여론조사에서 차기 당 대표 선호도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
 
한동훈 전 대표의 불출마 선언도 김 전 장관 쪽으로 승기를 기울게 합니다. 한 전 대표는 지난 24일 "기득권 다툼 대신 현장 정치를 하겠다"며 당권에 도전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당 대표 선거에서 63%의 지지율로 당선됐던 한 전 대표는 강력한 차기 당권 주자로 꼽혔습니다. 김 전 장관은 지난 대선 후보 교체 사태 이후 당내 지지세가 약해진 상황에서 큰 부담을 덜게 됐습니다.
 
조경태 의원이 당내 혁신파 후보들의 단일화를 주장하고 있다.(사진=뉴시스)
 
단일화 핵심 변수 부상 
 
김 전 장관보다 당내 혁신파에게 기회가 찾아왔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감사위의 결론이 혁신파의 인적쇄신론과 맞닿아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당 윤리위 심사 결과에 따라 감사위의 징계 청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지난 대선 이후 인적쇄신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상황에서 친윤(친윤석열)계에 중징계가 내려진 것 자체가 고무적이라는 평가입니다.
 
덩달아 비주류계를 중심으로 '혁신 단일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조경태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 혁신에 뜻을 같이하는 혁신 후보끼리 손을 맞잡아야 한다"며 "혁신 단일후보마저 좌초되면 모든 선거에서 패하고 국민의힘이 사라질 절체절명의 위기를 마주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조 의원은 "탄핵을 반대하고, 자유통일당의 대표를 지내신 분이 당대표가 된다면 혁신은 물 건너간다"며 "내란 혐의로 재판받고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을 추종하는 세력이 당의 대표가 되고 주류를 이룬다면 즉각 국민의힘에 대한 해산작업에 들어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다만 단일화가 탄력을 받을지는 미지수입니다. 한 전 대표의 불출마로 대표적인 혁신파 출마자는 조 의원과 안철수 의원으로 좁혀졌습니다. 문제는 당 혁신위원장을 제안받았던 안철수 의원이 인위적인 단일화는 맞지 않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상황입니다. 안 의원은 조 의원의 제안에 "결선투표를 진행하게 되면 단일화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며 "미리 단일화를 한다거나 하는 노력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효진 기자 dawnj789@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이효진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