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대성 기자]
한솔제지(213500)가 뒤숭숭한 여름을 보내고 있습니다. 최근 대전 신탄진공장에서 발생한 30대 신입사원 사망사고로 논란을 빚은 가운데, 이번 산업재해가 재무 불안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속 한경록 대표이사의 책임론도 확산하는 분위기입니다. 주주들 사이에서는 과거처럼 유상증자가 단행되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솔제지는 최근 대전 신탄진공장에서 발생한 산업재해로 거센 책임론에 직면한 상황입니다. 입사 한 달 차였던 30대 근로자가 폐지를 투입하는 기계에 추락해 사망했으나 회사 측은 사고 발생 후 수 시간 동안 이를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이 근로자는 경찰 실종 신고 후 약 8시간이 지나서야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고용노동부는 다음 날인 17일 현장 점검에 나섰고 김종윤 산업안전보건본부장은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조치가 미흡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대기업 공장에서 후진국형 사고가 발생한 만큼 회사 측이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할 때까지 작업 중지를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솔제지 신탄진 공장 앞.(사진=연합뉴스)
그럼에도 한솔제지는 오는 8월부터 신탄진공장의 생산을 예정대로 재개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해당 공장은 회사 전체 매출의 약 16%를 차지하는 핵심 생산기지로 가동 중단에 따른 생산 차질과 매출 손실도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이 가운데 고용노동부와 경찰은 지난 30일 한솔제지 본사와 신탄진공장 등에 대해 압수수색을 실시했습니다. 수사 당국은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뿐 아니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까지 염두에 두고 수사를 진행 중입니다. 이에 따라 한경록 대표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입건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번 사태가 단순한 산업재해를 넘어 한솔제지의 재무 건전성에도 직격탄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정부와 관계 당국은 해당 기업에 대해 대출 제한, 벌금 부과, 영업정지 등 강도 높은 제재를 검토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솔제지의 유동성 악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실제 금융위원회는 중대재해를 일으킨 기업에 대한 대출 및 보증 제한 방안을 추진 중이며 은행권도 내규상 평판 리스크를 반영해 산재 발생 시 대출을 제한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와 함께 사고 이후 안전관리 강화와 설비투자 등으로 운영자금이 더 필요해지면서 외부 자금 조달에 나설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는 '재무 안정화'를 명분으로 한 유상증자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한솔제지는 2016년에도 약 700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실시한 바 있으며 당시에도 주가 하락과 주주가치 훼손 논란이 일었습니다. 현재 부채비율이 20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또다시 유상증자 가능성이 부상하자 시장의 경계심은 더욱 짙어지고 있습니다.
신대성 기자 ston9477@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