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역 일대 재건축 현황. (자료=서울시)
[뉴스토마토 홍연 기자] 십 년 넘게 재건축이 정체됐던 대치동 대표 노후 단지 ‘은마아파트’가 49층, 5893가구 규모의 대단지로 탈바꿈합니다.
서울시는 13일 정비사업 인·허가 규제 전면 혁신이 핵심인 ‘신속통합기획 시즌 2’가 처음으로 적용된 사례인 은마아파트에 용적률 특례도 최초로 적용해 민간 주도 재건축에 공공분양을 결합한 주거 모델을 선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오전 은마아파트를 찾아 노후 현황을 점검하고 주민들을 만나 차질 없는 정비사업 추진을 위해 철저한 공정 관리와 행정적 지원을 펼치겠다고 밝혔습니다.
은마아파트는는 1979년 준공된 14층, 4424가구 규모 강남 대표 노후단지입니다. 그동안 주거 환경 개선과 안전 확보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으나 층수 규제와 GTX-C 지하 관통 등의 문제로 십 년 넘게 사업이 지연돼왔는데요.
지난 2015년 주민 제안으로 재건축을 추진했으나 50층 계획은 당시 35층 높이 규제로 무산됐고, 2022년 말 최고 35층 높이로 재건축 심의를 통과했습니다. 이후 2023년 높이 제한이 폐지되면서 올해 1월 신통기획 자문 신청 8개월 만인 9월 초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수권분과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면서 본격적 추진이 가능하게 됐습니다.
은마아파트는 2030년 착공, 2034년 준공이 목표입니다. 공영 주차장을 설치해 대치동 학원가 상습 주차난을 해소하고, 개방형 공공도서관을 비롯해 국공립 어린이집·치안센터·공원·저류시설 등 교육·복지·안전이 어우러진 주거 환경이 특징입니다.
이번 정비사업에서는 최초로 ‘공공분양주택’이 도입됩니다. 민간 주도 재건축에 공공분양이 결합된 최초 사례로 역세권 용적률 특례(300%→331.9%) 적용을 통해 655가구를 추가로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용적률 특례로 추가 공급되는 655가구 중 195가구는 다자녀 중산층 등 실수요자를 위한 공공분양주택으로 공급하고, 나머지 227가구는 민간분양, 233가구는 공공임대로 이뤄집니다.
현재 서울시는 은마아파트 외 5개 단지에서 역세권 용적률 특례 적용을 검토 중이며 구역 면적, 도로 등 단지별 입지 특성과 주변 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정비계획 수립 단계에서 적정한 용적률 완화 범위를 검토하고 위원회 심의를 거쳐 결정할 예정입니다.
한편 서울시는 은마아파트 재건축을 시작으로 ‘신통기획 시즌 2’를 본격화해 강남권을 비롯한 여의도, 목동, 성수 등 주요 지역의 정비사업 속도를 높여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2031년까지 강남구 2만5000가구, 서울 전역 31만가구를 공급한다는 방침입니다.
오세훈 시장은 “서울시의 명확한 주택공급 원칙은 민간이 주도하고, 공공은 적극적으로 지원해 시민이 원하는 곳에, 좋은 품질의 주택을 빠르게 공급하는 것”이라며 “은마아파트를 시작으로 노후 주거지의 민간정비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해 집값 상승을 이끌어온 핵심 지역 내 주택을 빠르게 확충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홍연 기자 hongyeon1224@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