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보라 기자] 김건희 씨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씨가 설립한 IMS 모빌리티 투자와 관련해 정무위원회 소속 강준현 의원이 한국증권금융의 IMS 모빌리티 투자가 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줬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금융위원회에 증권금융의 투자 시스템과 내부통제 전반을 점검해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준현 의원이 금융위원회 대상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사진=강준현 의원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준현 의원이 20일 열린 금융위원회 대상 국정감사에서 "공적 금융기관인 한국증권금융이 자본잠식 상태의 기업에 50억원을 투자한 것은 명백한 판단 실패이며, 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준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습니다. 이어 한국증권금융은 사실상 공적 금융기관으로, 그 투자 결정 하나하나가 시장 신뢰에 영향을 미친다"며 "부실기업에 잘못된 안전 신 를 보내면 그 피해는 결국 국민에게 돌아온다"고 우려했습니다 .
강 의원에 따르면 IMS 모빌리티는 김건희 씨 측근으로 알려진 김예성 씨가 설립에 관여한 렌터카 업체로, 완전 자본잠식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카카오모빌리티, HS 효성, 신한은행 등 9 개 기업으로부터 총 184 억원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이 가운데 한국증권금융은 단일 기관으로는 가장 큰 금액인 50억원을 출자했으며 그 중 46억원이 김 씨의 차명회사로 흘러간 정황이 포착됐습니다 .
한국증권금융은 국내 유일의 증권금융 전담회사로 자본시장 안정과 투자자 보호를 위해 자금과 증권을 공급하고 예탁금을 관리하는 공적 성격의 금융기관입니다. 강 의원은 "이런 기관의 투자는 시장에서 공적 보증 신호로 작용한다" 며, "결과적으로 부실기업에 공적 신뢰를 부여한 셈"이라고 비판했습니다 .
아울러 "IMS는 투자 당시 심각한 자본잠식 상태였고 이후 재무상황이 오히려 더 악화됐다" 며 "증권금융이 흑자전환을 근거로 건전한 투자라고 주장하지만 이는 단기 손익만을 본 것일 뿐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회복된 것은 아니다"고 꼬집었습니다.
특히 강 의원은 "IMS 투자 안건은 최근 3 년간 95건의 투자 중 유일하게 부분 찬성 의견이 제시된 사례임에도 '성장계획 실현 가능성을 보수적으로 평가'한다는 반대 의견을 무시하고 단 30분만에 50억원 투자가 승인됐다"며 "이 정도면 심사라기보다 졸속 결정에 가깝다"고 지적했습니다 .
그는 "증권금융이 선순위 구조와 풋옵션 , 동반매각권 등 과도한 안전장치를 내세워 안전한 투자였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곧 실패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었다는 반증"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정상적인 성장기업이라면 이런 장치를 달 이유가 없고, 손실 대비 중심의 비정상적 투자 구조였다"며 "증권금융은 공적 금융기관으로서의 책무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현재 수사 중인 사항으로, 수사 중 위법성이 적발되면 엄중히 처벌하겠다"고 답변했습니다 .
이보라 기자 bora11@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