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지은 기자] 오픈AI가 한국의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글로벌 협력과 자주적 생태계를 병행하는 듀얼 트랙 전략을 제안했습니다.
오픈AI는 23일 한국의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보고서 '한국에서의 AI: 오픈AI의 경제 청사진'을 공개하며 한국이 프런티어 AI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산업·지역 전반에서 경제 성장을 이끌 수 있는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크리스 리헤인 오픈AI 글로벌 대외협력 책임자는 "AI의 잠재력이 워낙 커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며 "한국은 새로운 지능의 시대에서 리더십을 확보할 전환점에 서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듀얼 트랙 전략을 제안하며 독립적 AI 생태계 구축과 글로벌 협력을 병행할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크리스 리헤인 오픈AI 글로벌 대외협력 최고 책임자. (사진=오픈AI)
특히 한국은 그래픽처리장치(GPU)·컴퓨팅 인프라 확충, 데이터 거버넌스 강화, 글로벌 배포 역량 확보 등을 통해 AI 활용을 가속화할 수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오픈AI는 지난 1일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약을 맺고 국내 AI 데이터센터 개발을 추진 중인데요. 한국은 초거대 AI 인프라 프로젝트 스타게이트에 참여하기로 했습니다.
보고서는 또 산업·중소기업, 의료, 교육 등 실질적 효과를 낼 수 있는 분야부터 단계적으로 AI 협력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향후 AI 국가 패키지로 발전해 K-AI 생태계의 토대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크리스 리헤인 오픈AI 글로벌 대외협력 책임자는 "한국은 반도체와 인재, 정부 지원 등 강점을 바탕으로 역사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며 "한국이 단순한 기술 수용국을 넘어 글로벌 표준을 제시하는 AI 선도국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지은 기자 jieune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