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상민 기자] 네이버가 '에이전트N'를 통해 검색을 넘어 실행까지 아우르는 맞춤형 통합 에이전트 방향성을 공개했습니다.
김범준 네이버 최고운영책임자(COO)는 6일 개최된 팀네이버 컨퍼런스 'DAN25'에서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네이버는 에이전트N으로 고도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에이전트N은 네이버의 서비스, 콘텐츠,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한 사용자 개개인을 위한 에이전트입니다. 에이전트 N의 핵심은 네이버의 서비스가 하나의 서비스처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경험입니다.
사용자는 에이전트N를 통해 직접 명령을 입력하지 않아도 네이버의 다양한 서비스가 사용자의 탐색 과정 속에 녹아 들어 필요할 때 제안·실행을 합니다.
김 COO는 서비스의 결합이 자연스런 사용성을 만든다면 데이터 결합은 정교한 초개인화를 가능하게 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네이버는 거대언어모델(LLM) 기술을 활용해 서비스 로그 분석, 사용자 행동 예측 등을 통해 제안을 수행합니다. 관심사와 패턴을 종합적으로 이해해 '페르소나'를 구축하고 이에 기반해 적합한 정보와 액션을 제시합니다.
이를 위해선 신뢰성 있는 데이터가 경쟁력의 핵심입니다. 네이버는 '메타데이터'를 활용, 에이전트가 참조하고 이용하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입니다.
김 COO는 "한국어 특화 데이터도 중요하지만 결국 이용자가 믿을 수 있는 정보여야 한다"며 "이런 데이터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고민하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의 생산·유통·소비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로, 단순 크롤링으로는 얻을 수 없는 정보입니다. AI가 참고하는 콘텐츠가 실제 사용자의 경험 기반인지, 혹은 자동 생성된 데이터인지를 판별합니다.
김 COO는 "이러한 신뢰 자산이야말로 AI 에이전트 시대의 필수 조건"이라며 "네이버는 가장 믿을 수 있는 에이전트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김범준 네이버 최고운영책임자(COO)는 6일 개최된 팀네이버 컨퍼런스 'DAN25'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토마토)
신상민 기자 lmez0810@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