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오세은 기자] 현대차그룹이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전담 조직을 신설했습니다.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현대자동차·기아 본사. (사진=뉴시스)
18일 현대차그룹의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최근 해킹과 랜섬웨어(시스템 접근을 제한하는 악성 소프트웨어) 등 사이버 공격을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그룹 사이버위협대응팀’을 신설했습니다. 팀장은 양기창 통합보안센터장(상무)입니다.
그룹 차원에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별도 조직이 만들어진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기존에는 계열사별로 사이버 공격에 대응해왔습니다. 그룹 사이버위협대응팀은 그룹 내 위협 요인을 점검 및 분석하고, 상황 모니터링과 프로세스 개선 등의 업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현대차·기아는 최근 3년간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고자 정보보호 투자를 크게 늘렸습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올해 현대차·기아의 정보보호 투자 금액은 지난해(425억3000만원)보다 46.1% 증가한 621억4000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정보보호 전담 인력도 늘어났습니다. 현대차·기아 전담 인력은 262.6명으로 지난해 185.4명에서 77명가량 늘었습니다.
현대차그룹이 이처럼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는 데에는 커넥티드카(Connected Car·인터넷에 연결된 자동차) 보완 강화에 목적이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차량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돼 있어 차량 제어권을 탈취당하거나 개인정보가 유출될 우려를 차단하려는 조치로 풀이됩니다.
오세은 기자 os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