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차, 수소경제시대 시발점..정부 지원 필수"

입력 : 2015-02-11 오후 12:00:00
[뉴스토마토 임애신기자] 연료전지자동차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연료전지자동차는 수소경제시대를 열어 줄 단초다. 하지만 인프라 구축까지 장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대대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정윤지 LG경제연구원은 11일 '연료전지자동차 수소경제시대의 전주곡'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잇달아 연료전지자동차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면서 "연료전지자동차의 본격적인 상용화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현대차(005380)가 연료전지자동차 '투싼iX' 양산을 시작했고, 최근 토요타가 세단 형태의 가격 부담이 낮은 미라이를 출시하며 불씨를 지폈다.
 
정 연구원은 "연료전지자동차의 상용화와 함께 수소경제에 대한 재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점"이라면서 "연료전지자동차는 자동차 산업의 발전이라는 의미를 넘어 동력기관에 수소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수소가 주요 연료로 사용되는 수소경제시대의 도래를 예고하는 신호로 이해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 "연료전지자동차의 발전이 수소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자동차 회사와 에너지 회사들이 참여해 충전 인프라 건설이 이뤄지고 있고, 자동차 및 관련업체들의 참여 증가로 연료전지 및 수소에너지 관련 기술 장벽도 낮아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기업·대학·연구소들이 수소 관련 연구에 참여하면서 수소 생산·운송·저장 등에 필요한 기술까지 발전을 이루고 있다"며 "연료전지자동차를 통한 수소 생태계 구축이 가속되고 기술적 장애요인이 해결되면서 수소경제의 현실화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 수소경제를 가장 적극적으로 준비하는 국가는 일본이다. 일본은 정부 주도로 기술 개발, 자금 지원, 민간 협력 유도를 통해 수소사회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미국과 유럽의 일부 지역 역시 수소경제로의 전환 가능성을 점검 중이다.
 
정 연구원은 "수소경제는 기술 축적과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이고 구체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면서 "연료전지자동차 발전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지원이 이뤄진다면 수소에너지 관련 기술 발전과 관련 산업 성장으로 이어져 수소경제로 가는 길을 앞당기는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마지막으로 "수준의 기술력과 대규모의 인프라 구축이 요구되기 때문에 국가 차원의 지원 하에 정부·민간 단체·학계 등의 전방위적이고 구체적인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면서 "막대한 경제·사회적 파급 효과와 함께 대규모 비용 및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진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 주요국의 수소 연료전지자동차 지원 정책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임애신 기자
임애신기자의 다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