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규하 기자] # ○○항에서 중소 하역업체를 운영하는 A씨(56세)는 안전시설 보강 여부를 놓고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투자 여력이 부족하다 보니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근본적 대책을 마련하는 데 한계가 따랐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안전 예방에 손을 놓을 수도 없었습니다. 평소 야간작업을 할 때 조도 확보가 어려워 근로자·중장비 간 충돌이 발생하는 사고가 있었고, 선적 화물 확인·포장 등을 위해 근로자들이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아 항상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돼왔습니다. A씨가 고민 끝에 문을 두드린 곳은 '항만하역장 근로자 재해예방시설 지원사업'. 해당 사업에 선정되면서 야간작업용 LED 조명등과 고소 작업용 안전 플랫폼 등을 설치한 A씨는 "항만 하역에 특화된 안전장비를 설치하게 돼 근로자들이 훨씬 안전하게 일할 수 있게 됐다"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해양당국이 올해 항만하역장 근로자 재해예방시설 지원사업으로 국비 19억원을 투입합니다. 부산, 울산, 여수 광양, 인천 등 주요 항만공사들도 12억원을 부담키로 하면서 24시간 노동 강도가 높은 항만 작업 공간의 질적 개선이 이뤄질 전망입니다.
해양수산부는 2025년 항만하역장 근로자 재해예방시설 지원사업 대상으로 67개 사업장을 선정했다고 16일 밝혔습니다. 지원 사업은 추락 사고 방지 장치, 인공지능(AI) 기반 사고 방지 장치, 응급구조 설비 등 안전장비·시설 설치 등입니다.
해양수산부는 2025년 항만하역장 근로자 재해예방시설 지원사업 대상으로 67개 사업장을 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사진=뉴시스)
해당 사업비는 정부가 50%를 부담하고 민간이 나머지 절반을 내는 정책입니다. 항만공사가 있는 주요 항만은 항만공사가 국비의 25%를 부담합니다. 이에 따라 올해 사업에는 국비, 항만공사 각각 19억원, 12억원을 투입할 예정입니다.
해당 사업은 2022년 8월 항만안전특별법 시행에 따른 조처로 평택항의 청년 노동자가 항만 하역 작업 중 사망한 사고를 계기로 마련된 정책입니다. 지난 3년간 총 117억원(국비·항만공사 보조)을 투입, 177개 사업장이 안전시설·장비 보급을 지원받았습니다.
남우진 해수부 항만안전보안과장은 "올해 지원 사업에는 74개 업체가 안전시설 구축을 위해 지원서를 제출했다"며 "항만 안전 전문가 및 학계, 근로자 대표 등으로 구성된 사업평가단이 항만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고 방지를 위한 시설, 사고 예방 효과 등을 평가해 67개 업체를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항만은 24시간 운영되고 노동 강도가 높은 작업 공간으로 항상 안전사고 위험에 놓여 있다"며 "항만 근로자들이 안전한 작업환경에서 안심하고 일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지난 3일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수출 야적장에 컨테이너들이 쌓여 있다. (사진=뉴시스)
세종=이규하 기자 judi@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