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윤민영 기자] 저축은행권 연체율이 10%에 육박하고 회수율은 정체되면서 자산 건전성 전반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전체 부실이 확대되는 가운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중심으로 한 자산 회수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 평균 연체율은 8.52%로 집계됐습니다. 전년 말(6.55%)보다 1.97%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업계 전반의 신용 위험이 현실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특히 기업대출 부문에서 부실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PF 대출을 포함한 기업대출 연체율은 12.81%에 달했고, 고정이하여신(부실 채권) 비율도 10.66%로 두 자릿수를 기록했습니다. 일부 중소형 저축은행은 연체율이 20%에 육박하거나 고정이하여신이 전체 여신의 25%를 넘는 등 위험 관리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반면 자산 회수는 부실 누적 속도에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PF 사업장 정보공개 플랫폼'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 기준 등록된 전국 384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중 177개(약 46.1%)가 공매 절차에도 착수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이들 사업장의 감정평가액은 약 5조3600억원에 달합니다. 이는 유의·부실우려 등급으로 분류된 여신 19조2000억원 중 약 28% 수준입니다.
시장에서는 기준금리가 앞으로 더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 때문에 자산 반등 기대가 커지며 회수는 뒷순위로 밀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금리가 낮아지고 부동산 경기가 회복된다면 굳이 서둘러서 경공매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기대 심리가 반영된 탓입니다. 한 PF 시행사 관계자는 "경공매 속도가 빨라야 자금 순환이 된다는 당국의 당부가 있다"면서도 "건전성 보전과 경공매 속도를 맞추려고 해도 일단 매수자가 움직이지 않으면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이렇게 회수가 정체되고 있는 사이에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저축은행의 충당금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부실 자산을 제때 팔지 못해 실제 손실로 잡히는 시점은 계속 늦춰지고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유예나 대출 만기 연장만 반복될 경우 언젠가 자본건전성 악화가 한꺼번에 드러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금융당국은 현재까지 PF 부실에 대해 자율적 연장·재구조화 중심의 연착륙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국은 위험 노출이 큰 저축은행들에 대해 유동성 점검과 함께 PF 관련 자산 회수 현황 제출을 요구하고 있으며 일부 저축은행은 부실채권(NPL) 정리를 위한 자회사 설립 등 회수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윤민영 기자 min0@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