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9명 "개인정보보호 중요"

개인정보 보호 중요 응답 92.4%
출범 5년 만에 위원회 인지도 2배 증가
조사·처분 강화 정책 ‘가장 효과적’ 평가

입력 : 2025-07-17 오후 4:48:38
[뉴스토마토 신상민 기자] 국민 10명 중 9명이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개인정보위는 17일 '개인정보 보호 정책 관련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출범 5주년을 맞아 국민 인식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조사 결과  '개인정보가 중요하다'는 응답은 87.4%, '개인정보 보호가 중요하다'는 응답은 92.4%로 각각 나타났습니다. 우리 국민은 본인의 개인정보를 중시하는 만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해서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개인정보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는 응답은 50.9%로 절반을 넘었습니다. 이는 출범 1년 차인 2021년 7월 조사 결과(23.6%)보다 2배 이상 증가한 수치입니다. '개인정보위 역할이 중요하다'는 응답은 88.2%였고 '향후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87.9%였습니다.
 
개인정보위에서 추진해 온 주요 정책 중 '인공지능(AI) 관련 신기술·신사업 지원, 조사·처분 강화, 아동·청소년 디지털 잊힐 권리 도입, 개인 정보 처리방침 운영' 등 10개 정책에 대해 효과성을 조사했습니다.
 
효과성을 묻는 10개 정책 중 응답자의 65% 이상이 효과적이라고 답했습니다. 우리 국민은 개인정보 정책이 전반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응답자들이 가장 효과적인 성과로 뽑은 것은 ‘엄정한 법 집행으로 조사·처분 강화'로 나타났습니다. 
 
향후 개인정보 보호·활용을 위해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AI 등 신기술 관련 개인정보 보호 강화'가 뽑혔으며, '신기술 관련 개인정보 활용 확대'가 뒤를 이었습니다.
 
이는 국민 대다수가 AI 시대에 대응하는 데이터 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AI 등 신기술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서정아 개인정보위 대변인은 "이번 조사를 통해 기존 개인정보 정책의 효과를 점검하고, AI 등 신기술에 대응한 신규 정책 추진 관련 국민 수요를 파악할 수 있었다"며 "개인정보위는 앞으로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정책의 주요 내용과 성과를 적극적으로 알릴 계획이다"고 말했습니다.
 
개인정보위는 17일 '개인정보 보호 정책 관련 국민 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사진=뉴시스)
 
신상민 기자 lmez0810@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신상민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