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효진 기자] 한·미 관세 협상 결과에 여야가 상반된 반응을 내놨습니다. 김병기 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관세 협정이 성공적으로 타결됐다"며 "역시 이재명정부다. 국익 중심 실용외교가 옳았다"라고 평가했습니다. 반면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재명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우리가 얻기 위해 관세 협상 부담을 많이 하게 된 건지, 다른 외교·안보·국방 차원에서 국민에게 알려지지 않은 이슈가 있는지 정부에서 소상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김병기 민주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31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이재명정부의 한미 관세 협상을 "성공적"이라고 평가했다. (사진=뉴시스)
김병기 대표 직무대행은 31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출범 2개월 만에 국민 기대에 값진 성과로 응답해 준 이재명 대통령과 정부에 감사하다"며 "정부와 원팀이 돼 제조업 협력 방안 도출에 힘과 지혜를 모아준 우리 기업들에도 감사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대통령 말처럼 이번 협상을 통해 한미 상호 협력은 더 강화되고 한미 동맹도 더 확고해질 것"이라며 "특히 우리 농민 생존권과 식량 안보를 지키며 민생 경제 회복에 대한 대통령과 정부의 확고한 의지를 재확인시켜줬다"고 말했습니다.
김 직무대행은 "이제 국회가 응답할 시간"이라며 "민주당은 정부와 긴밀하게 협력해 우리 기업 경쟁력 강화, 수출 시장 다변화 등 산업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입법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다짐했습니다.
같은 당 박상혁 수석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협상으로 우리 경제에 드리웠던 불확실성을 해소했다"며 "애초에 미국이 짜놓은 판 위에서 해야 하는 어려운 협상이었지만 정부는 우리가 지켜야할 국익들을 철저히 지켜냈다"고 했습니다.
정부에 감사를 표하기도 했습니다. 박 수석대변인은 "1500억달러 규모로 우리 기업이 주도하는 조선 협력 펀드와 20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 또한 미국 시장에 우리 기업의 든든한 교두보가 되어 줄 것"이라며 "촉박한 시간 속에서도 국익을 최우선에 두고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전력을 다해온 협상단의 노고에 감사드린다"라고 말했습니다.
여당으로서 정부와 협력을 약속하기도 했습니다. "앞으로 다가올 무역 전쟁의 파도 역시 정부, 국민과 함께 슬기롭게 헤쳐 나갈 것을 다짐한다"며 "민주당은 책임 여당으로서 앞으로도 우리 기업들이 수출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31일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회의에서 이재명정부의 한미 관세 협정이 무리한 것 아니었냐는 지적을 내놨다. (사진=뉴시스)
반면 제1야당인 국민의힘은 무리한 관세 협상이 아니었냐는 지적을 내놨습니다. 송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회의에서 "협상 시간에 쫓겨서 많은 양보를 했다는 느낌이 있다"며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LNG(액화천연가스) 에너지 구매에 1000억불로 총 4500억달러의 대미 투자와 구매가 필요한 상황인데 우리 외환보유고보다 많은 액수에 과도한 금액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정부와 트럼프 대통령의 말이 다른 점도 꼬집었습니다. 송 위원장은 "정부는 쌀, 소고기를 비롯한 농축산물에 대한 추가 개방은 없다고 했다"며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를 보면 농업이 포함돼 있는데 관세가 제로라는 표현도 들어 있다"고 했습니다.
송 위원장은 "농축산물 개방이 없다면 대단히 환영할 수 있겠지만 쌀과 소고기 외에 다른 곡물이나 과일류의 수입의 대폭 확대되는 건지 아니면 트럼프 대통령의 단순한 정치적 수사인지에 대한 부분도 정부가 밝혀달라"고 비판했습니다.
이효진 기자 dawnj789@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