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식약처)
[뉴스토마토 동지훈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내년 예산안으로 8122억원을 편성했습니다. 올해 예산 7489억원에서 633억원(8.4%) 불어난 규모입니다.
식약처는 3일 새 정부의 국정과제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관련 예산을 중점 편성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식약처는 특히 재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강력한 지출구조조정도 추진했다고 강조했습니다.
2026년도 식약처 예산안 주요 내용은 △제약·바이오헬스 안전 및 혁신성장 기반 확충 △규제환경 고려 맞춤형 식의약 안전지원 강화 △먹거리 안전 및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 △미래 대비 선제적 식의약 안전관리 체계 구축 등입니다.
식약처가 제약·바이오헬스 안전 및 혁신성장 기반 확충을 위해 편성한 예산은 1704억원입니다. 가장 많은 집중된 곳은 마약퇴치운동본부 지원으로, 총 171억원이 편성됐습니다. 이어 인공지능(AI) 응용제품 신속 상용화 지원 예산이 150억원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이 밖에 희귀·필수의약품센터 지원에 67억원이 쓰이고 화장품 안전관리 강화에 50억원이 활용됩니다.
식약처는 대학생 대상 마약류 예방교육과 교육 전문인력 인증과정 운영을 확대하고, 마약류 중독자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수립해 마약류 예방교육과 중독자 재활지원 기반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규제환경 고려 맞춤형 식의약 안전지원 강화를 위한 예산은 1054억원입니다. 식약처는 식의약 규제과학 혁신지원 강화에만 114억원을 집행할 예정입니다. 올해 예산 5억원에서 100억원 넘게 늘어난 규모입니다. 의약품 인허가 규제 국제협력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예산안은 20억원에서 33억원으로 13억원가량 증액됐습니다. 글로벌 규제과학 리더양성 사업 예산 55억원은 신규 편성됐습니다.
식약처는 바이오헬스 산업이 지속 성장하고 있으나 경험과 역량이 부족한 업계의 체계적 규제지원 요구가 커지고 있어 통합 상담플랫폼을 구축하고 첨단·차세대 바이오의약품 맞춤형 상담 인력을 확보해 규제지원을 확대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먹거리 안전 및 건강한 식생활 환경 조성에 투입되는 예산은 1871억원입니다. 항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 안전관리 예산이 78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HACCP제도 활성화, 국민영양 안전관리 예산이 각각 56억원, 36억원으로 잡혔습니다.
식약처는 식품 위해요소 발생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발달장애인의 영양 관리와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발달장애인 식이 섭취 현황을 조사하고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식단과 식사 지침도 개발할 계획입니다.
1469억원의 예산은 미래 대비 선제적 식의약 안전관리 체계 구축을 위해 쓰입니다. 식의약품 안전정보체계 선진화 예산은 177억원으로 올해 125억원과 비슷한 규모를 유지했습니다. 위해사범중앙조사단 운영에 투입되는 예산은 올해 10억원에서 내년 19억원으로 늘어납니다.
식약처는 "2026년 ㅇ녜산안이 국회 심의과정을 거쳐 확정되면 새 정부 국정과제 및 역점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동지훈 기자 jeehoo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