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하 육군참모총장이 지난 8일 AI기반 GOP과학화경계작전 시범부대인 경기 연천 육군 5사단을 방문해 GOP대대에서 육군이 자체 개발한 AI기반 과학화경계작전 체계 시범 적용 결과를 확인하고 있다. (사진=육군)
[뉴스토마토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김규하 육군참모총장이 지난 8일 취임 후 첫 야전부대를 찾아 인공지능(AI) 기반 경계작전 등을 점검했습니다.
육군은 9일 "김 총장이 어제 경기 연천 육군 5사단을 방문, AI 기반 GOP과학화경계작전 시범부대와 드론을 제작·정비·교육하는 '드론공작소'를 점검하는 등 창끝부대 장병들과 직접 소통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현장 방문은 '강한 육군, 신뢰받는 육군'을 지휘 목표로 제시한 김 총장이 자신의 지휘 목표를 현장에서 행동을 중심으로 구현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라는 게 육군의 설명입니다.
육군에 따르면 김 총장은 육군 인공지능센터가 자체 개발한 군 AI 모델을 활용해 AI 기반 과학화경계작전 체계를 시범 적용하고 있는 GOP대대를 방문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손영주(중령) 대대장은 "AI 기반 객체 인식 덕분에 경계 효율성이 높아져 장병들이 보다 집중력 있게 임무 수행을 할 수 있게 됐다"며 "임무 완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보고했습니다.
이어 김 총장은 최근 국방부가 추진 중인 '50만 드론 전사 양성'에 발맞춰 5사단에서 운영 중인 '드론공작소'를 방문했습니다. 드론을 제작·정비·교육할 수 있는 드론공작소에서 김 총장은 드론을 직접 운용해보며, 분대급 규모까지 보급 예정인 상용 교육용 드론 운용자 집체교육 체계를 확인했습니다.
김 총장은 드론 운용 능력 향상에 힘쓰고 있는 장병들에게 "미래전 양상의 변화를 선도할 수 있도록 창의성과 전문성을 발휘하는 드론 전사가 되어달라"고 격려하며, 육군 차원의 정책적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해 장병들의 의견을 청취했습니다.
조경연(상사) 드론공작소 교관은 "정찰·감시뿐만 아니라 전투 지원에 이르기까지 드론의 역할과 기대가 커지고 있는 만큼, 간부들이 드론을 직접 제작·정비하고 실전 운용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있다"며 "교육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간부들의 자긍심이 높고, 앞으로도 최선을 다해 임무 수행에 매진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마지막 일정으로 장병들의 애로 사항을 듣기 위한 간담회에 참석한 김 총장은 "창끝부대의 여건 개선은 강군으로 도약하기 위한 필연적 과정"이라며 "육군 구성원의 첫 출발지인 창끝부대의 공간 혁신과 여건 개선을 통해 '매력 있는 육군'으로 만들어가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석종 국방전문기자 stone@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