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4일 서울 여의도 국회 로텐더홀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취임선서에서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박진아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11일 취임 100일을 맞습니다. '12·3 비상계엄'이라는 사상 초유의 내란 사태,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등 대형 정치적 이벤트를 거쳐 탄생한 이재명정부의 첫걸음은 녹록지 않았습니다. 전임 정부의 혼란과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사회 시스템을 정상 궤도로 돌려놓아야 한다는 시대적 책무를 안고 시작했습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도 없이 출범한 이재명정부의 지난 100일은 "체감상 1년은 된 것 같다"라는 이 대통령의 발언처럼 뒤돌아볼 여유도 없이 숨 가빴습니다.
이 대통령은 분열과 불신이 남긴 폐허 위에서 국가를 정상화하겠다고 약속했고, 인사·조직이 완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속도를 무기 삼아 국정 운영을 시작했습니다. 취임 첫날부터 비상경제대응 태스크포스(TF)를 즉각 가동하며 민생 살리기와 경기 하방 압력에 선제 대응했고, 예산 편성과 정책 집행도 임기 초부터 앞당겨 시장의 불확실성 완화에 주력했습니다. 또 통합과 실용을 강조하며 성과 중심의 인사 원칙을 밀어붙였고, 검찰 개혁을 비롯한 각종 개혁 입법 추진에 고삐를 당겼습니다. 반년 이상 멈춘 정상외교의 공백을 메우려는 노력으로 취임 초 한미, 한일 정상외교 채널을 다시 가동하면서 한미 동맹은 물론, 한일 관계 개선의 지속성에 대한 우려도 일정 부분 옅어졌습니다.
이 같은 이유로 전문가들은 대체로 혼란한 정국을 안정시키고 소통과 통합에 공을 들인 이재명정부의 초기 평가에 '합격점'을 줬습니다. 하지만 개혁 드라이브의 속도와 외교 불확실성, 여야 대치 속 정치적 해법 부재 등은 향후 이재명정부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힙니다. 또 출범 당시부터 논란이 된 재정건전성에 대한 고민과 구조개혁 과제 추진도 이재명정부가 풀어 나가야 할 숙제로 지목됩니다. <뉴스토마토>는 지난 100일 이재명정부가 걸어온 국정 운영 역량을 짚어봤습니다.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