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6·3 지방선거가 20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 특히 이번 지방선거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매치업은 바로 서울시장 선거다. 여야의 승패를 가르는 최대 승부처이기 때문이다.
최근까지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국민의힘 후보는 사실상 오세훈 현 시장이 꿰차는 분위기다. 민심도, 당심도 오 시장이 확실한 우위를 보였다. 오 시장의 경우 서울시장 선거에서 승리한다면 단숨에 유력한 대권주자로 떠오를 수 있다. '반민주당'의 선봉장으로 부상하는 것은 물론, 국민의힘과 개혁신당 연합의 구심점 역할을 할 가능성도 있다.
반대로 민주당 내부에선 아직까지 이렇다 할 후보군이 정리되지 않고 있다. 출마 계획을 밝히거나 출마 가능성을 시사한 후보들만 10여명에 이른다. 하지만 당내 확실한 1강 후보로 자리매김한 후보가 없는 상황이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도 오 시장을 상대로 확실한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서울시민들의 관심이 높은 부동산 문제는 최근 민주당에 악재로 작용하는 모습이다. 서울의 전 지역이 정부의 10·15 부동산 조치로 규제 대상에 묶이면서 서울의 여론이 요동치고 있다. 당장 부동산 문제가 내년 서울시장 선거의 쟁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2021년 당시 문재인정부에서 부동산 문제가 최고조로 불거졌을 때도 민주당의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가 오세훈 시장에게 18.32%포인트 차이로 크게 졌는데, 이와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을까 하는 불안감이 여당 내에 있다. 여당의 한 관계자는 "그렇지 않아도 오세훈 시장에 맞설 여당 후보가 마땅치 않은데 부동산 문제로 선거가 더 어렵게 됐다"고 토로했다.
특히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주자들이 당내 경선에서 50%가 반영되는 당원투표에서 이기기 위해 점차 강성화되고 있는 것도 본선에선 경쟁력 약화를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비교적 정치 이슈에 민감하고 타 지역 대비 중도층이 포진한 서울에서 민주당 내 강경파 후보군 만으로 오 시장을 상대하기엔 부족하다는 관측이다.
결국 확실한 서울시장 후보가 없다는 게 여당에 독으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대선 땐 민주당에 '이재명'이란 유력 주자가 있었기 때문에 당시 이재명 후보가 과감히 '우클릭'도 하면서 보수진영 정책을 자유자재로 가져다 쓸 수 있었지만, 현재 민주당 분위기로는 서울시장 후보들에게 중도보수로의 확장성 역할을 기대하기 어렵다.
서울 민심이 점차 보수화되는 흐름을 감안한다면 결국 중도 표심을 잡는 후보가 서울시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제 8개월도 채 남지 않았다. 민주당 후보들 입장에선 자신의 당성을 드러낼 게 아니라 서울의 중도·청년층 표심을 잡는 게 급선무다. 민주당 당원들의 선택도 주목된다. 결국 서울시장 선거에서 오 시장을 상대로 이길 수 있는 민주당 후보를 밀어주지 않을까.
박주용 정치팀장 rukaoa@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