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수정 기자] 김윤식 신협중앙회장은 21일 잇단 내부통제 부실 사태와에 대해 “중앙회가 세심하게 대응하지 못해 사죄드린다”며 “전수 조사해 엄중 대처하고 불미스러운 일이 안 생기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 회장이 책임을 통감하며 강도 높은 체질 개선을 약속했지만, 임기 만료가 넉 달밖에 남지 않아 의지대로 이행될 지는 미지수입니다.
여야는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최근 일부 조합에서 발생한 대규모 횡령과 잇따른 임직원 비리를 놓고 중앙회의 관리·감독 체계가 부실했다며 내부통제 미흡을 지적했습니다. 앞서 지적받은 명예퇴직금 중복 지급과 행사비·출장비·경조사비 등 황제 경비, 전자지급결제대행(PG) 계약 과정에서 불법 도박 자금 세탁 의혹 외에 △비이상적 저금리 대출 △중앙회 내부감사 미흡 △내부고발자(공익제보자) 징례 등 문제가 추가로 제기됐습니다.
전북 신협에서는 22년간 총 87차례에 걸쳐 고객 예금 15억원을 빼돌린 사건이 직원 자수로 드러났습니다. 대전의 한 신협에서는 임원이 가족회사에 내준 대출에 대해 금리를 최초 8%에서 1%까지 인하해준 부당 대출 정황도 포착됐습니다.
(자료=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실 제공)
(자료=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실 제공)
10억원 이상 규모 대출 중에서 채무조정 트랙에서 누락된 건만 61건이고, 과도한 이자율 조정이 발견된 대출은 97건에 달했습니다. 채무조정 대상이 아닌데도 1~2%대의 초저금리 조건으로 실행된 대출들입니다. 이 중 대출 최초 실행부터 1% 금리를 적용 받은 대출은 15건, 현재 0%대 금리를 적용 받은 대출은 4건으로 확인됐습니다.
신장식 조국혁신당 의원은 “채무조정 대상도 아닌데 (대출금리) 8% 짜리를 1%로 깎아주는 게 말이 되느냐”며 “그래놓고 채무조정 트랙에 들어갔어야 하는데, 누락된 거라고 하면 (신협의) 지독한 무능이거나 도덕적 해이 둘 중 하나가 아니냐”고 질책했습니다.
김 회장은 일부 조합에서 경비와 관련한 일탈이 있었다고 시인하면서 엄중히 대처하는 방향으로 후속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채무조정 관련 저리 대출에 대해선 “경매에 넘어가기 전에 부도가 나면 최소한의 원금을 받기 위해 일반적으로 저금리 대출을 내주고 있었다”며 “채무조정 대상 외에 의심이 될만한 대출 건에 대해 적발하고 고발 조치하든지 엄중 조치를 취하겠다”고 했습니다.
강준혁 민주당 의원은 “일부 조합의 부당대출, 채용비리, 금품 수수 등 부조리를 금융감독원에 신고해도, 중앙회에 사실 조회를 요청해 자체 감사를 펴고 나면 대부분 ‘문제없음’으로 종결된다”며 “내부 감사 진행 중에 이사장에 직원 면담이 실시간으로 전달되고, 고발당한 특정 직원이 오히려 승진한 사례도 있었다”고 짚었습니다.
김 회장은 “의원실에서 지적을 받고 부조리 신고를 받았다가 승진된 직원에 대해 심사 과정에서 누락시켰다”고 답변했습니다. 강 의원은 “추가 사실이 나온다면 단호하게 조치해달라”고 주문했고, 김 회장은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김윤식 신협중앙회장이 21일 오후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선서하고 있습니다. (사진=신수정 기자)
신수정 기자 newcrystal@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