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반도체·로봇, 차세대 방산기술로…1134억 투입

정부, 민군기술협력사업 2025년도 시행계획 확정
수륙양용 기동정찰로봇 등 132개 개발과제 지원

입력 : 2025-04-30 오전 6:59:27
[뉴스토마토 박진아 기자] 정부가 AI·드론·반도체 등 첨단 민간기술의 방산 분야 적용을 본격화, 올해 민군기술협력사업에 총 1134억원을 투입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방위사업청은 3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민군기술협력사업 시행계획'을 확정·발표했습니다.
 
올해 민군기술협력사업에는 총 1134억원이 투입됩니다. 전년과 비교하면 32% 증가한 규모로, 수륙양용 기동정찰로봇, 초소형 자폭드론 시스템 등 132개 개발 과제를 지원합니다. 특히 △AI △반도체 △로봇 △드론 등 차세대 방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핵심기술 자립화를 위해 전체 예산의 약 63%인 720억원이 집중 투자됩니다.
 
정부는 민간 기술 국방 분야 적용이 확대되도록 민군 소통 협력 플랫폼인 '첨단민군협의체'를 가동해 군 소요와 연계 가능한 첨단기술을 발굴하고, 국방부와 협업해 군의 소요 결정 전이라도 민간 신기술을 신속히 검증할 수 있는 군 시범 운용을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우리나라와 미국 간 방산 협력 강화와 수출 지원을 위해 산·학·연·군이 참여하는 '함정 MRO(유지·보수·정비) 민·군 협의체'를 구성하고, MRO 분야 전문 인력 양성 및 시험·인증 체계 구축을 위한 신규 사업을 발굴할 예정입니다.
 
핵심 인재 양성에도 나섭니다. △기계 △소재 △전기·전자 △우주항공 등 방산 기반산업 분야에 매년 600억원이 투입되며 이를 통해 연간 2000명 이상의 전문인력이 키워질 계획입니다. 또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인 MIT, 프라운호퍼 등에 설치된 '글로벌 산업기술 협력센터'를 거점 삼아, 민군 겸용성이 높은 공동 R&D 과제를 발굴하고 해외 국방 수요 기반의 수출형 차세대 무기체계 부품개발도 본격화한다.
 
민군기술협력사업은 1999년 시작된 범부처 협력사업(15개 부처 참여)으로 △민군 겸용기술 개발 △민간기술의 국방 활용 △국방기술의 민간 활용 등을 포괄하며 민군 규격 표준화 및 기술정보 교류를 지원해 왔습니다.
 
박성택 산업부 차관은 "AI와 드론 등 민간 첨단기술과 방산 산업의 융복합을 통해 미래 방산시장을 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범정부 차원에서 민군 협력을 적극 추진해 방위산업의 수출 전략산업화를 실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출처=산업통상자원부)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
ⓒ 맛있는 뉴스토마토, 무단 전재 - 재배포 금지
박진아 기자
SNS 계정 : 메일 페이스북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