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명신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글로벌 IT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향후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노트북·모니터 분야 대세화를 이끌겠다고 25일 밝혔습니다.
이종혁 삼성디스플레이 대형사업부장이 25일 타이베이에서 열린 글로벌 파트너십 행사 ‘삼성 OLED IT 서밋 2025’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이날 삼성디스플레이는 대만 그랜드메이풀 호텔에 초청해 IT 분야 글로벌 대표 기업들을 ‘삼성 OLED IT 서밋 2025’를 개최했습니다. 올해로 두 번째를 맞은 이번 행사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주요 고객사 및 파트너사와 함께 IT OLED 기술력과 미래 비전을 공유하는 글로벌 파트너십 행사입니다.
이날 행사에는 인텔을 비롯한 에이서, AOC, 에이수스, 벤큐, 델, 기가바이트, HP, 레노버 등 글로벌 노트북·모니터 제조사를 포함해 고객사와 파트너사에서 총 400여명의 관계자가 참석했습니다.
이종혁 대형디스플레이사업부장 겸 IT사업팀장(부사장)은 기조연설에서 IT OLED 대세화 흐름 속에서 글로벌 파트너들과의 협력 관계를 강조했습니다. 이 부사장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디스플레이 산업 내에서 하나의 기술이 ‘대세’가 되기 위해선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며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가격과 가치가 균형을 이루는 접근성을 갖춰야 하며, 생태계의 구성원들이 굳건한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행사에서 기존 프리미엄 라인업 외에 구동 부품을 하나의 집적회로(IC)로 통합시켜 가격 경쟁력을 높인 메인스트림 제품을 소개하며 고객과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25일 타이베이에서 열린 글로벌 파트너십 행사 ‘삼성 OLED IT 서밋 2025’에서 참석자들이 전시 제품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삼성디스플레이).
아울러 삼성디스플레이는 차세대 저전력 기술로 주목받는 ‘UT 원’(울트라씬 원) 제품을 전시했습니다. 이 기술은 산화물 TFT 기술을 적용해 IT OLED 패널 최초로 콘텐츠에 따라 주사율을 전환해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가시켰습니다.
데모 전시에서 UT 원이 탑재된 노트북은 일반 OLED 패널이 탑재된 제품 대비 약 3시간 정도 긴 배터리 사용 시간을 보여 이목을 끌었습니다. 이 밖에도 삼성디스플레이와 인텔이 공동 개발한 소비전력 저감 기술인 ‘스마트파워 HDR’과 가격 경쟁력을 높인 최신 QD-OLED 모니터 라인업에는 참석자들의 호평이 나왔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AI 시대, 저전력 기술과 화질의 새로운 기준’이라는 주제로 인텔, 영상전자표준위원회(VESA), 삼성디스플레이가 참여한 패널 토의가 진행되기도 했습니다. 인텔 PC 최고 기술 책임자 쿤잘 필라크는 “디스플레이는 PC 전체 소비전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아 우리가 집중하는 핵심 분야”이며 “삼성디스플레이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OLED 노트북의 배터리 수명을 크게 개선할 수 있었다”고 했습니다.
이명신 기자 si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