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표진수 기자] 현대차그룹이 1회 주유로 10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한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공개했습니다. 현대차가 독자 개발한 시스템으로, 기존 구동모터(P2)에 새로운 시동모터(P1)를 장착해 연료소비효율과 주행 성능을 동시에 향상 시킨 것이 특징입니다. 이번에 출시된 현대차의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디 올 뉴 팰리세이드’에 처음 적용됐고, 소형차부터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 등에도 적용할 예정입니다.
현대차그룹 2.5 터보 하이브리드 시스템. (사진=현대차)
현대차는 지난 10일 서울 중구 ‘크레스트 72’에서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테크데이’를 열고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공개했습니다. 시스템의 핵심은 ‘구동모터(P2)+시동모터(P1)’로 구성된 병렬형 구조에 있습니다. 기존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변속기와 엔진 사이에 구동과 차량이 감속할 때 전기 에너지를 변환해 배터리를 충전하는 ‘회생제동’을 담당하는 단일 구동모터(P2)를 배치했지만, 새로운 시스템은 여기에 시동 및 발전, 구동력 보조 역할을 하는 시동모터(P1)가 추가됐습니다.
시동모터(P1)는 엔진에 직접 체결돼 마찰 손실을 줄이고 시동과 발전, 구동력 보조까지 담당하며 시스템 효율을 끌어올립니다. 유홍식 전동화구동설계팀 책임연구원은 “기존 시스템은 모터의 벨트 마찰로 손실이 발생되고 구동은 오직 구동모터(P2)가 담당해 연비와 동력성 등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면서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시동모터(P1)가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직결돼 응답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한층 우수하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이브리드차는 내연기관과 배터리, 전기모터로 구성된 동력 시스템을 갖춘 차량입니다. 전기차와 비슷하지만, 내연기관 엔진이 없으면 구동이 불가능하기도 합니다.
현대차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첫 적용 모델인 '더 뉴 팰리세이드' (사진=현대차)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의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속에서 하이브리드차가 대세로 자리잡는 가운데, 현대차그룹은 새롭게 선보인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소형부터 대형, 럭셔리까지 적용해 다양한 차종을 선보인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기존 3종이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5종으로 늘려 다양한 고객 요구를 충족한다는 계획입니다.
첫 적용은 이달부터 양산을 시작한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모델에 탑재됐습니다. 내년에는 제네시스 후륜구동 모델에도 도입됩니다. 한동희 현대차 부사장은 “오랜 하이브리드 개발 경험과 전기차 기술력을 집약해 혁신적인 시스템을 완성했다”며 “고객에게 친환경적이면서도 우수한 성능의 차량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지난 10일 서울 중구 ‘크레스트 72’에서 열린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 테크데이’에서 유홍식 책임 연구원이 발표하고 있는 모습. (사진=표진수기자)
표진수 기자 realwater@etomato.com